공직선거법 수험서는 내용이 어렵거나 방대할 필요가 없다. 시험은 법조문과 판례에서 대부분 출제되기 때문에 단순한 책일수록 좋다. 선거법을 연구하는 복잡한 이론서로 9·7급 선거행정직 준비생이 수험공부를 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일선 선관위 국장(4급, 서기관)으로 재직하고 있는 33년 차 공무원 경력의 저자가 펴낸 이 책은 선거법 전문과 선거행정직 준비생에게 꼭 필요한 내용만을 수록하여 공직선거법 공부의 방향을 제시해 주는 수험서로써, 기본서, 조문해설집, 요약집 등을 각각 따로 볼 필요가 없도록 1권의 교재로 단순화하고 단권화한 것이 특징이다. 2020. 3. 25. 최신 개정 법률을 반영하였다.
공직선거법의 출제경향을 보면 법조문에서 90%, 판례에서 10% 정도의 비율로 출제가 되고 있다. 법조문의 정확한 이해가 무엇보다도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저자가 공직선거법 과목 등으로 선관위 5급 사무관 승진 시험에 합격할 당시에 공부하였던 교재의 형식으로 편집되었고, 법조문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조문별로 입법취지와 해설이 수록되어 있다.
본문을 적절히 분해·편집하여 법조문의 가독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고, 인용조문과 준용조문을 해당 조문에 삽입하여 별도로 조문집을 보면서 공부하는 불편함을 없앤 것도 특징이다.
선거 종류별로 <주요선거사무 일정표>를 앞부분에 실어 수험생이 선거 흐름을 파악하면서 공부할 수 있게 하였고, 정리가 필요한 조문은 도표로 정리하여 연관된 조문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비교표도 제공한다.
역대 기출문제를 표기하여 출제빈도가 높은 조문을 한눈에 보고, 출제경향을 알 수 있게 편집하였다.
30년이 넘는 공무원 경력을 가진 저자의 노하우가 담긴 이 책은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형식의 공직선거법 수험서로 공직선거법 공부를 처음 시작하거나, 여러 번 실패한 수험생 모두에게 매우 도움이 되는 교재가 될 것으로 기대가 된다.
머리말
대통령선거 주요사무 일정표
국회의원선거 주요사무 일정표
전국동시지방선거 주요사무 일정표
제1장 총 칙
제2장 선거권과 피선거권
제3장 선거구역과 의원정수
제4장 선거기간과 선거일
제5장 선거인명부
제6장 후 보 자
제6장의2 정당의 후보자 추천을 위한 당내경선
제7장 선거운동
제8장 선거비용
제9장 선거와 관련 있는 정당활동의 규제
제10장 투 표
제11장 개 표
제12장 당 선 인
제13장 재선거와 보궐선거
제14장 동시선거에 관한 특례
제14장의2 재외선거에 관한 특례
제15장 선거에 관한 쟁성
제16장 벌 칙(출제 제외)
제17장 보 칙
부 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