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출간도서

목록으로

열국영웅전 제8권 합종연횡(合從連衡)

출간일
2021-07-31
저자
양승국
분야
역사·문화
판형
신국판(152 X 225)
페이지
666
ISBN
979-11-6552-970-3
종이책 정가
25,000원
전자책 정가
17,000원
저자소개

양승국

탁연(卓淵) 양승국(梁承國)

1950 광주광역시 출생
1970 용산고 졸업, 서울대 농대 입학
1978 한일개발 입사 후 중동과 유럽 지사 파견근무
1986 퇴사ㅁ
1988 태승무역 창업. 중국 진출
1996 폐업. 홍콩 현지법인 광림실업 입사
중국 광동성 혜양시 소재 문구공장 근무
《열국연의》 번역작업 시작
2000 광림실업 퇴사 21세기 경제학연구소 창립. 사무국장 취임

중국 역사에는 갖가지 통치이념과 덕(), (), ()의 인생철학이 흐르고 있다. 천 개에 육박하는 제후국들과 수천 명의 인물들이 명멸한 대하역사를 지닌 광대한 중국. 우리들은 중국에 대해 진정으로 알고 있다 말할 수 있는가? 인문학의 보고, 중국 역사를 새롭게 재구성한 저자 양승국의 열국영웅전을 이 책을 통해 만나 보기 바란다.

 

 

 

굴원이 머리를 풀어 헤치고 노래를 부르며

강수의 강변을 따라 유랑하다가 동정호 호반에 이르렀다.

내가 듣기에 새로이 머리를 감고자 하는 사람은 필히 관을 벗어 털어야 하고, 새로이 몸을 씻고자 하는 사람은 필시 자기의 옷을 벗어 흔들어야 한다고 했소. 어찌 이 맑고 깨끗한 몸으로 더럽고 욕된 것들을 받아들일 수 있겠소.

내가 설사 상수에 빠져 수장되어 고기들의 밥이 된다 할지언정

어찌 희고 깨끗하며 결백한 마음의 내 몸에

이 속된 세상의 먼지를 뒤집어쓸 수 있겠소?

어부가 빙그레 미소를 지으며 노를 뱃전에 두드리며 떠나가면서 노래를 불렀다.

 

맑고 맑은 창랑의 강이여

내 갓끈을 씻을 만하구나.

탁하고 탁한 창랑의 강물이여

내 발을 씻을 만하구나.

滄浪之水淸兮(창랑지수청혜)

可以濯吾纓(가이탁오영)

滄浪之水濯兮(창랑지수탁혜)

可以濯吾足(가이탁오족)

 

어부가 마침내 가 버리니 다시는 그 소식을 전해 듣지 못했다.

 

 

30장 소진장의蘇秦張儀

- 육국을 위해 합종을 유세하는 소진과 진나라를 위해 연횡을 주장하는 장의 -

1. 우모불성(羽毛不成) 불능고비(不能高飛)

- 털이 다 자라지 않은 새는 하늘을 높이 날 수 없다 -

2. 현량자고(懸梁刺股)

- 대들보에 상투를 묶고 송곳으로 허벅지를 찔러 가며 발분독서하는 소진 -

3. 소진합종(蘇秦合縱)

- ·(·) 두 나라에 합종책을 유세하여 뜻을 얻은 소진 -

4. 화사첨족(畵蛇添足)

- 다리가 달린 뱀은 뱀이 아니다 -

5. 화씨지벽(和氏之璧)

- 화씨벽의 유래 -

6. 도벽지원(盜璧之怨)

- 장의가 초나라로 들어가 벽옥을 훔친 도적의 누명을 쓰고 원한을 품다 -

7. 피격왕진(被激往秦)

- 소진의 격심술로 진나라로 들어가 입신양명하는 장의 -

8. 육국겸상(六國兼相)

- 합종을 성사시켜 육국의 재상을 겸임한 소진 -

9. 금의환향(錦衣還鄕)

- 육국의 재상인을 허리에 두르고 금의환향한 소진 -

10. 원수회맹(洹水會盟)

- 원수에 모여 합종을 맹약한 육국의 왕들이 소진을 합종장으로 추대하다 -

11. 소진반간(蘇秦反間)

- 소진이 제나라로 들어가 연나라를 위해 반간활동을 하다 -

12. 장의상진(張儀相秦) 파종연횡(破縱連橫)

- 장의가 진나라의 상국이 되어 합종을 깨고 연횡을 성사시키다 -

13. 효란공죄(淆亂功罪) 유획흉수(誘獲兇手)

- 자객을 상()으로 유인하여 죽어서도 자기의 원수를 갚은 소진 -

14. 세위사진(說魏事秦)

- 장의가 연횡책을 유세하여 위나라가 진나라를 받들게 하다 -

15. 쟁론벌촉(爭論伐蜀)

- 촉나라 정벌에 대해 사마조(司馬錯)와 쟁론하다 -

16. 위지기초(僞地欺楚)

- 600리를 6리라고 속여 초나라를 농락한 장의 -

17. 우국시인(憂國詩人)

- 우국시인 굴원이 어리석은 왕을 위해 이소(離騷)를 노래하다 -

18. 장의피수(張儀被囚)

- 죽음을 무릅쓰고 초나라로 들어가 투옥되는 장의 -

19. 재기회왕(再欺懷王)

- 또다시 초회왕을 농락하고 사지를 벗어나는 장의 -

20. 장의연횡(張儀連橫) 척산합종(拆散合縱)

- 장의가 연횡을 유세하여 합종을 와해시키다 -

21. 식양지맹(息壤之盟)

- 감무(甘茂)와 진무왕이 식양에서 맹세하다 -

22. 거정절경(擧鼎折脛)

- 구정을 들다가 다리가 부러져 죽은 진무왕 -

23. 강상지처녀(江上之處女)

- 강변처녀의 호소 -

24. 부회함진(赴會陷秦)

- 경솔하게 회맹장에 나갔다가 진나라의 포로가 된 초회왕 -

25. 연환삼계(連環三計)

- 초경양왕 웅횡이 세 개의 계책으로 영토를 지키다 -

26. 굴원피축(屈原被逐)

- 간신들의 참소를 받아 쫓겨나 유랑하는 굴원 -

27. 익사지도(弋射之道)

- 주살의 궁술에 빗대 천하를 취하는 방법을 유세하다 -

28. 영도윤함(郢都淪陷)

- 진나라의 공격으로 함락당하는 초나라의 서울 영도 -

29. 가창랑지수(歌滄浪之水)

- 창랑지수를 노래 부르다 -

30. 회사투강(懷沙投江)

- 조국이 망하는 모습을 보고 돌을 가슴에 안고 멱라수에 몸을 던진 굴원 -

 

31장 완벽귀조完璧歸趙

- 연성지보 화씨벽을 무사히 보전하다 -

1. 회벽유죄(懷璧有罪)

- 인상여의 조언으로 회벽유죄의 화를 면한 조나라의 목현(穆賢) -

2. 완벽귀조(完璧歸趙)

- 화씨벽을 완벽(完璧)하게 보전한 인상여 -

3. 봉공수법(奉公守法)

- 귀척에게 공법을 밝혀 법을 집행하다 -

4. 불욕사명(不辱使命)

- 민지회맹(澠池會盟)에서 조왕의 위엄을 지킨 인상여 -

5. 장상화(將相和)

- 장군과 재상이 화합해야 나라의 안전을 지킬 수 있다 -

6. 부형청죄(負荊請罪) 문경지교(刎頸之交)

- 회초리를 등에 지고 죄를 청하는 염파와 죽음을 함께하는 우정을 맺은 인상여 -

7. 양서투혈(兩鼠鬪穴) 용자취승(勇者取勝)

- 좁은 구멍 안에서 두 쥐가 싸우면 용기 있는 쪽이 이긴다 -

8. 단해한위(單解韓圍)

- 진군에게 포위된 한나라를 일격에 구원한 조사 -

9. 부모애자(父母愛子) 위계심원(爲計深遠)

- 부모의 자식사랑은 필히 깊고 멀리 내다봐야 하는 법이다 -

10. 조사논전(趙奢論戰)

- 마복군 조사가 전단(田單)과 전쟁에 대해 논하다 -

11. 지상병담(紙上談兵) 병가대기(兵家大忌)

- 책 속의 병담은 병가가 크게 경계하는 법이다 -

12. 이령지혼(利令智昏)

- 이익에 눈이 멀어 어지러워진 지혜 -

13. 장평대전(長平大戰)

- 한나라의 상당군을 놓고 장평에서 크게 싸우는 진과 조 두 나라 -

14. 필의합종(必疑合縱) 구내가야(媾乃可也)

- 합종을 행한다고 의심하게 만들어야 우리가 원하는 강화 조약을 맺을 수 있다 -

15. 반간피편(反間被騙) 임진환장(臨陣換將)

- 진나라의 반간계에 속아 전투 중의 장수를 바꾸는 조나라 -

16. 조괄패사(趙括敗死)

- 지상병담의 조괄이 장평대전에서 패배하여 조나라를 멸망의 길로 이끌다 -

17. 갱살사십만항졸(坑殺四十萬降卒)

- 조나라의 항졸 40만 명을 학살하다 -

18. 진화타겁(趁火打劫)

- 불난 집에서 도적질하는 연나라 -

19. 조연재전(趙燕再戰)

- 진나라를 앞에 두고 또다시 싸우는 조·연 두 나라 -

20. 방훤주국(龐煖柱國)

- 연나라의 침략을 막아내고, 조나라의 기둥을 붙든 방훤 -

21. 유지유신(遺之諛臣) 이란기모(以亂其謀)

- 아첨하는 신하를 부추겨 그들의 생각을 어지럽히다 -

22. 일반삼시(一飯三矢)

- 한 끼 식사에 세 번 용변을 보다 -

23. 거간곽개(巨奸郭開)

- 희대의 간신 곽개 -

24. 견벽패진(堅壁敗秦)

- 보루에 의지하여 굳게 지키다가 기회를 틈타 진군을 대파한 이목(李牧) -

25. 살이목타장성(殺李牧墮長城)

- 이목을 죽여 장성을 스스로 무너뜨린 조나라 -

26. 곽개매국(郭開賣國) 조국복망(趙國覆亡)

- 곽개의 매국으로 멸망하는 조나라 -

27. 수지무정(水之無情) 사직윤망(社稷淪亡)

- 무정한 강물이여! 사직은 망했음이여! -

 

32장 전국사군戰國四君

1. 수명불우문미(受命不于門楣)

- 사람의 명은 문설주 따위에 달려 있지 않습니다 -

2. 현손지현손(玄孫之玄孫)

- 현손의 현손을 무어라 합니까? -

3. 의반자경(疑飯自剄)

- 맹상군이 먹는 음식을 의심한 식객이 스스로 목숨을 끊다 -

4. 육국합종(六國合縱) 공진패퇴(攻秦敗退)

- 육국이 합종을 맺고 진나라를 공격했으나 싸움에 패하고 물러갔다 -

5. 미인소벽(美人笑躄)

- 절름발이 선비를 비웃은 미인의 목을 치다 -

6. 모명구상(慕名求相)

- 맹상군의 명성을 사모하여 재상으로 삼은 진소양왕 -

7. 계명구도(鷄鳴狗盜)

- 닭 울음소리와 개도둑의 도움으로 사지를 벗어난 맹상군 -

8. 풍환탄협(馮驩彈鋏)

- 풍환이 장검을 두드리며 노래 부르다 -

9. 토채매의(討債買義)

- 빚을 탕감하여 인의를 사들이다 -

10. 교토삼굴(狡兎三窟)

- 지혜로운 토끼는 어려울 때를 대비해서 세 개의 굴을 마련한다 -

11. 부귀다사(富貴多士) 빈천과우(貧賤寡友)

- 부귀하면 찾아오는 사람이 많고 가난하면 친구는 떠나는 법이다 -

12. 사명보은(捨命报恩)

- 목숨을 바쳐 은혜에 보답한 제나라의 현자 -

13. 신릉지의(信陵之義)

- 매를 죽여 비둘기의 원수를 갚아 준 신릉군의 신의 -

14. 이문방현(夷門訪賢)

- 이문에 숨어 사는 현인 후영(侯嬴)을 예방하는 신릉군 -

15. 양호상투(兩虎相鬪) 노견수폐(駑犬受弊)

- 두 마리의 호랑이가 싸우다 지치면 늙은 개가 이익을 차지하는 법이다 -

16. 춘신지명(春信之明) 태자출관(太子出關)

- 춘신군 황헐의 밝은 지혜로 진나라 관문을 빠져나온 초나라의 태자 -

17. 삼천주리(三千珠履) 자참형예(自慚形穢)

- 진주가 박힌 신발을 신은 춘신군의 3천 식객들이 평원군의 식객들을 무참하게 하다 -

18. 모수자천(毛遂自薦)

- 모수가 스스로를 천거하다 -

19. 후영헌계(侯嬴獻計)

- 후영이 조나라를 구원할 계책을 말하다 -

20. 절부구조(竊符救趙)

- 호부를 훔쳐 조나라를 구하는 신릉군 -

21. 인덕불망(人德不忘), 덕인망지(德人忘之)

- 남에게 받은 덕은 잊지 말아야 하고 남에게 베푼 덕은 잊어야 한다 -

22. 절절대은(折節大隱)

- 조나라 시정에 몸을 숨기고 사는 대현과 몸을 굽혀 사귀다 -

23. 종모설(從毛薛)

- 모공과 설공의 설득으로 위급한 위나라를 구하기 위해 환국하다 -

24. 하외패진(河外敗秦) 위진천하(威振天下)

- 진군을 하외에서 격파하여 위엄을 천하에 떨치다 -

25. 진지반간(秦之反間) 순주부인(醇酒婦人)

- 진나라의 반간계에 걸려 술과 여인에 빠져 죽다 -

26. 춘신실신(春申失信)

- 전장에서 임의로 이탈하여 신의를 잃은 춘신군 -

27. 천도수춘(遷都壽春)

- 진나라의 압박을 견디지 못하고 수춘으로 천도하는 초나라 -

28. 이원헌매(李園獻妹)

- 이원이 누이를 춘신군에게 바치다 -

29. 무망지화(無妄之禍)

- 대비하지 않으면 뜻밖의 화를 당한다 -

30. 당단부단(當斷不斷) 상명멸족(喪命滅族)

- 결단을 해야 할 때 하지 않아 목숨을 잃고 멸족당하다 -

 

33장 연제춘추燕齊春秋

1. 학양소병(學讓召兵)

- 선양(禪讓)을 흉내 내어 불러들인 병화로 나라를 망친 연왕 쾌() -

2. 천금매골(千金買骨)

- 천금으로 죽은 천리마의 뼈를 사다 -

3. 황금대초현(黃金臺招賢)

- 황금대를 지어 천하의 인재를 모으는 연소왕 -

4. 사천편지(射天鞭地)

- 하늘을 활로 쏘고 땅을 채찍으로 때리다 -

5. 상사연리(相思連理)

- 사랑하는 마음에 죽어서도 연리지가 된 한빙(韓凭) 부부 -

6. 진제칭제(秦齊稱帝)

- 진소왕이 제민왕에게 칭제(稱帝)를 제안하다 -

7. 제벌걸송(齊伐桀宋)

- 폭군 송언왕을 정벌하는 제민왕 -

8. 제민자대(齊湣自大)

- 송나라를 멸한 제민왕이 교만에 빠지다 -

9. 악의입연(樂毅入燕)

- 위나라 출신 악의가 연소왕의 신하가 되다 -

10. 연국대치(燕國大治) 흥병벌제(興兵伐齊)

- 부국강병을 이루어 제나라 정벌군을 일으키는 연소왕 -

11. 망주망대(亡主妄大)

- 나라를 잃는 망명객 주제에 자존망대한 제민왕 -

12. 약지복심(略地服心)

- 백성들의 마음을 얻어 제나라 땅을 점령하려고 한 악의 -

13. 수심소욕(隨心所欲) 조도징벌(遭到惩罰)

- 마음 내키는 대로 폭정을 행하다가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 제민왕 -

14. 단좌살적(袒左殺敵)

- 단좌로 사람을 모아 초군을 물리친 애국소년 왕손가(王孫賈) -

15. 백룡어복(白龍魚服)

- 난을 피해 하인의 처지로 전락한 제나라의 왕자 법장 -

16. 태형태자(笞刑太子)

- 악의를 참소한 태자에게 태형을 가하는 연소왕 -

17. 악의분조(樂毅奔趙)

- 기겁의 모함을 받아 조나라로 달아난 악의 -

18. 화우파적(火牛破敵)

- 화우진으로 연군을 무찔러 제나라를 복국시키다 -

19. 보연왕서(報燕王書)

- 악의가 연왕에게 편지로 충정을 밝히다 -

20. 노중련치서(魯仲連致書)

- 노중련이 편지 한 장으로 요성(聊城)을 탈환하다 -

 

34장 원교근공遠交近攻

1. 진소양왕(秦昭襄王)

- 위염(魏冉)의 추대를 받아 진왕의 자리에 오른 진소양왕 -

2. 이궐지전(伊闕之戰)

- 진장 백기가 이궐의 싸움에서 한·위 연합군 24만 명의 목을 베다 -

3. 수가세양후(須賈說穰侯)

- 위나라의 대부 수가가 양후 위염에게 유세하여 대량의 포위를 풀다 -

4. 소대세양후(蘇代說穰侯)

- 소대가 제나라를 위해 양후에게 유세하다 -

5. 진서격진(陳筮激秦)

- 한나라의 대부 진서가 진의 승상 양후를 격분시켜 나라를 구하다 -

6. 입유대공(立有大功) 조도기한(遭倒忌恨)

- 대공을 세웠으나 오히려 질시를 받아 함정에 빠진 범저 -

7. 편청편신(偏聽偏信) 엄형고타(嚴刑拷打)

- 질시하는 말만 듣고 가혹한 형을 가하다 -

8. 양사도생(佯死逃生)

- 죽음을 가장하여 도망쳐 목숨을 구하다 -

9. 범저분진(范雎奔秦)

- 왕계를 만나 진나라로 달아나는 범저 -

10. 범저헌책(范雎獻策) 원교근공(遠交近攻)

- 원교근공의 책략을 소양왕에게 유세하다 -

11. 범저상진(范雎相秦)

- 범저가 진나라의 승상의 자리에 오르다 -

12. 제포연연(綈袍戀戀) 구전성명(苟全性命)

- 옛정을 생각하여 내어 준 솜옷 하나로 목숨을 부지한 수가 -

13. 탁발난수(擢拔難數)

- 내 머리에 난 머리카락은 셀 수 있지만 제가 지은 죄는 너무 많아 셀 수 없습니다 -

14. 당중수욕(當衆羞辱)

- 수가를 대중 앞에서 치욕을 주어 옛날 원한을 풀다 -

15. 대구득보(大仇得報)

- 큰 원한을 쌓은 업보로 대가를 치르는 위제 -

16. 애자필보(睚眦必報) 일반필상(一飯必償)

- 범저가 원한과 은혜를 모두 갚다 -

17. 지혜옥련환(智解玉連環)

- 지혜로 옥련환의 매듭을 푼 제나라의 군왕후 -

18. 지잠장평(智賺長平)

- 지혜로 조나라를 속여 장평대전을 승리로 이끌다 -

19. 백기원사(白起寃死)

- 두우(杜郵)에서 억울하게 죽음을 당한 진나라의 명장 백기 -

20. 불인제진(不忍帝秦)

- 진나라를 제왕으로 받드는 일은 결코 참을 수 없다 -

21. 탄환지지(彈丸之地) 유불여야(猶不予也)

- 그 땅은 탄환처럼 작은 땅이라 주지 않은 것과 같습니다 -

22. 언자이즉(言者異則) 인심변의(人心變矣)

- 같은 말이라도 사람에 따라 듣는 이의 마음도 바뀐다 -

23. 할성위진(割城慰秦) 시약천하(示弱天下)

- 성을 떼어 진나라의 환심을 사는 행위는 조나라가 약하다는 사실을 천하에 선전하는 일이다 -

24. 합종득실(合縱得失)

- 합종으로 생기는 득과 실 -

25. 승상연좌(丞相連坐)

- 친구의 배신에 연좌하여 석고대죄하는 범저 -

26. 천자피채(天子避債)

- 백성들에게 빌린 빚에 몰려 몸을 숨긴 주천자 -

27. 멸주천정(滅周遷鼎)

- 주나라를 멸하고 구정을 함양으로 옮기다 -

28. 채택자대(蔡澤自代)

- 범저에게 유세하여 대신 승상의 자리에 앉은 채택 -

29. 성극즉쇠(盛極則衰) 공성신퇴(功成身退)

- 사물이 극에 달하면 쇠하게 되니, 공을 이루면 물러날 줄 알아야 한다 -

 

닫기

출판상담문의

오전 9시 ~ 오후 6시

070-4651-3730

세상과 책을 잇는
마중물같은 출판사
지식과감성#

고객센터 전화상담

070-4651-3730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시간 : 11시 25분 ~ 1시)

1:1 온라인 상담

지식과감성# 카카오플러스 친구 추가

메일 또는 카카오톡으로 상담 신청 가능

원고 및 파일전송

웹하드 접속하기
아이디 : ksbookup 비밀번호 : ks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