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터의 품격』은 프리터족·니트족·경계선 지능 청년·고립은둔 청년 등 한국 사회에서 보이지 않는 청년들의 현실을 기록한 에세이입니다. 이 책은 청년의 고립을 개인의 나약함이 아닌 사회 구조적 문제로 바라보며,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함께 살아가기 위한 제언을 담고 있습니다.
고립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김광민 작가는 청년의 고립을 개인의 성향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주거, 고용, 교육, 복지의 불균형 속에서 ‘사회가 어떻게 청년을 고립시켜왔는가?’를 드러내며, 문제의 본질을 개인이 아닌 구조 속에서 찾는다.
그의 시선은 단순한 문제 제기에 머물지 않고, 사회를 성찰하며 함께 나아갈 길을 모색한다. 이 책은 정답을 제시하기보다, 함께 고민하고 연대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출발점이 되고자 한다.
p. 15. “이름이 생기면 존재가 선명해진다.”
p. 66. “낙인은 결국, 이중 고립을 만든다.”
p. 114. “평균이라는 단어는, 개인의 속도를 무시한다.”
p. 122. “연대는 위로를 넘어, 변화를 만든다.”
p. 142. “실패를 정의한다는 건, 넘어짐을 부정하지 않는 태도다.”
p. 167. “우리는 완벽하지 않아서 더 아름답다.”
p. 207. “당신은 태어난 순간부터 이미 존엄한 존재다.”
작가의 말
Part 01 프리터족이란?
1-1. ‘프리터’의 정의
1-2. 같은 이름, 다른 이야기
1-3. 청년 통계로 본 프리터의 현실
1-4. 프리터와 사회 인식
1-5. 프리터가 바꾸는 노동의 의미
Part 02 우리나라만의 문제일까?
2-1. 일본의 ‘프리터’ 세대
2-2. 유럽의 간헐적 노동 문화
2-3. 미국의 긱 이코노미
2-4. 남미·동남아 사례
2-5. 비교 속 한국형 프리터
Part 03 쉬는 청년의 마음
3-1. 학습된 무기력
3-2. ‘잠시 멈춤’의 필요성
3-3. 쉬는 것에 대한 죄책감
3-4. ‘쉰다’의 다른 이름들
3-5. 휴식이 만드는 장기적 변화
Part 04 니트족이란?
4-1. NEET의 정의와 배경
4-2. 니트족의 심리
4-3. 니트와 프리터의 경계
4-4. 니트족을 둘러싼 사회 인식
4-5. 니트로 사는 법
Part 05 은둔형 외톨이란?
5-1. 히키코모리의 기원
5-2. 한국의 은둔형 외톨이 현황
5-3. 은둔과 디지털 공간
5-4. 은둔의 장기화와 위험
5-5. 은둔에서 나오는 방법
Part 06 경계선 지능 청년이란?
6-1. 대한민국 국민 7명 중 1명
6-2. 경계선 지능 청년의 일상
6-3. 경계선 지능과 사회적 취약성
6-4. 경계선 지능과 노동시장
6-5. 보이지만, 보이지 않는 존재
Part 07 보호종료아동이란?
7-1. 보호종료의 의미와 현실
7-2. 보호종료청년의 자립 준비
7-3. 집이 있어야 꿈을 꿀 수 있다
7-4. 프리터와 보호종료청년의 연계성
7-5. 해석과 방향점
Part 08 비교와 우열
8-1. 끝없는 비교의 사회
8-2. ‘평균’의 함정
8-3. 낙인의 메커니즘
8-4. 자기검열의 사회
8-5. 연대의 가능성
Part 09 성과주의
9-1. 성과로만 평가받는 시대
9-2. 한국 성과주의의 뿌리
9-3. 번아웃 세대
9-4. 불안 산업의 확장
9-5. 회복의 사회
Part 10 정답은 없다
10-1. 다양한 길이 공존하는 사회
10-2. 개인의 속도와 방향
10-3. 실패의 재정의
10-4. 쉼의 권리, 삶의 균형
10-5. 인생은 트레킹이다
Part 11 삶의 속도
11-1. 빨라야 한다는 강박
11-2. 세상에 당연한 건 없다
11-3. 부모의 기대, 자녀의 현실
11-4. 세대 간 대화의 복원
11-5. 서로 다른 시계를 맞추는 법
Part 12 타인은 지옥이다
12-1. 타인의 시선에 갇힌 방
12-2. 나는 누구인가
12-3. 나는 있는 그대로의 나다
12-4. 불완전한 아름다움으로부터
12-5. 나는 당신이 애쓰지 않았으면 좋겠다
Part 13 이미 골든타임을 놓쳤지만
13-1. 잃어버린 시간의 대가
13-2. 일촉즉발의 위기
13-3. 골든타임을 놓친 5080세대
13-4. 세컨드 골든타임
13-5. 희망은 여전히 남아있다
Part 14 위로와 연대의 사회
14-1. 높은 벽 앞에 선 청년들
14-2. 결코, 당신의 탓이 아니다
14-3. 오히려 좋아
14-4. 얼마나 잘되려고 이럴까
14-5. 위로에서 변화로
Part 15 작가의 노트
15-1. 내가 프리터로 살며 쓴 기록
15-2. 다음 세대를 위한 제언
15-3. 나의 경험에서 우리의 길로
15-4. 작은 불빛이 모여 길을 밝힌다
15-5. 태어난 것만으로도 존엄한 존재
작가의 마지막 말


070-4651-3730
ksbookup@naver.com
지식과감성# 카카오플러스 친구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