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준비생의 최종 목표는 스펙을 쌓는 것이 아니라 직장에 들어가는 것이다. 아니,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직장’이 아니고 ‘직업’을 선택하는 것이다. 학생들이 잘못 생각하는 것이 직장과 직업 사이에서의 혼돈이다. 이제는 평생직장이란 개념이 사라진 시대다. 어느 기업도 우리의 정년까지 보장해 줄 수는 없다. 정년을 보장해 주는 직장은 공무원과 공기업, 대기업 노동조합원, 교사 정도에 불과하다. 오로지 ‘평생직업’만이 있을 뿐이다. 취업은 좋아 보이는 ‘명함’을 사는 것이 아니다. 평생직업의 첫 단추로서 커리어를 시작하는 것이다.
직장인이 되지 말고 직업인이 되어야 한다. 단순히 직장을 얻고자 한다면 이 책을 덮기 바란다. 노후의 행복까지 보장할 수 있는 직업인이 되고자 한다면 이 책을 끝까지 숙독하자.
취업준비는 공부가 아니고, 기업에서도 공부만 잘하는 사람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성과를 낼 수 있고 기업에 부가가치를 창출해 줄 수 있는 사람을 요구한다. 즉 공부 머리가 아닌 일 머리를 갖추고 신뢰할 수 있는 인성을 갖춘 사람을 찾는 것이다. 이제 스펙의 함정에서 스스로 벗어나야 한다.
이 책에서는 취업준비생들이 불필요한 스펙에 목매기보다는 현재 자신이 갖고 있는 역량과 잠재역량을 어떻게 도출해서 표현해야 하는지 함께 고민할 것이다. 또한 어떻게 자신에게 적합한 직업을 선택해야 하는지, 취업을 위해 어떤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취업과 고용시장에 대한 이해를 통해 단순히 직장을 선택하는 것에서 벗어나 평생직업을 선택하는 것으로 관점을 바꾸고, 자기분석을 통해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잘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탐색해 보자. 그리고 자신의 역량을 찾아내서 지원하는 직무와 연결시켜 보자.
들어가며
1장 취업의 관점을 바꿔라
1. 직장인과 직업인의 차이
2. 평생직장은 없다, 평생직업만이 있을 뿐이다
3. 고용시장을 이해하자
4. 스펙에 대한 오해와 진실
5. 진짜 성패는 입사 후에 결정된다
2장 직장이 아니라 천직을 잡아라
1. 취업에도 전략이 필요하다
2. 직무 선택
3. 업종 선택
4. 기업 선택
5. 중견기업과 강소기업을 공략하라
6. 공기업의 채용 방식
7. 기업분석과 직무분석 시트 활용
3장 입사지원서 못 쓰면 면접도 없다
1. 입사지원서의 의미
2. 이력서 항목분석과 작성 방법
3. 자기소개서 항목분석과 작성 방법
4. 해당 업종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활용하자
5. 자기소개서는 반드시 출력해서 보관하자
6. 인적성 검사
4장 면접 필살기
1. 면접이란 무엇인가?
2. 면접관 질문의 의도를 파악하자
3. 면접에서의 평가 요소
4. 면접 종류별 대응 방법
5장 면접 성공을 위한 1분 자기소개 & 지원동기
1. 1분 자기소개와 지원동기가 합격을 좌우한다
2. 지원동기
3. 회사와의 관계성을 강조하라
6장 면접 이미지메이킹
1. 면접관이 선호하는 이미지란
2. 목소리도 경쟁력이다
3. 최종 점검은 녹화가 최고의 방법이다
7장 면접에서 나오는 질문의 유형과 분석
1. 자기소개 및 지원자 성향 파악
2. 장단점
3. 신상 확인
4. 기업이해도
5. 지원동기 및 포부
6. 가상 상황
7. 경험에 기초한 질문
8. 여성 응시자
9. 기타
끝내며
부록 직무사전 50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