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출간도서

목록으로

2025 새로운 자습서 고전시가 한시·경기체가 1

출간일
2025-02-23
저자
이주선
분야
외국어·학습서
판형
46배판(188 X 257)
페이지
66
ISBN
979-11-392-2439-9
종이책 정가
5,000원
전자책 정가
저자소개

이주선

이주선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졸업, 저서에 『눈의 꽃』(2020), 『겨울의 꿈』(2020), 『꽃, 사랑이 되다』(2021), 『일상, 세계가 되다』(2021), 『연인』(2022), 『새로운 자습서 고전시가 1』(2024)이 있다.

고전시가 수업은 더 이상 선생님의 일방적인 구절 풀이식 수업이어서는 안 된다. 이 자습서는 학생들이 원문을 현대어로 뜻풀이한 풀이본을 읽고 원문의 문장은 스스로 학습하되, 고전시가를 깊이 있게 읽기 위한 질문을 접하고 스스로 생각하며 작품의 주제 읽기, 정서 읽기, 표현법과 그 표현법의 효과 읽기 등 다양한 깊이 있는 읽기를 통해 답하며 상호 작용 할 수 있는 새로운 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하여 이 2025 새로운 자습서 고전시가 한시·경기체가 1을 통해 새로운 고전시가 읽기와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며 많은 학생들과 선생님들께 공유되어 미래형 이상적 문학 수업과 학습에 도움 되기를 바란다.

새로운 자습서 시리즈의 교육목적은 고등학교 국어, 문학 과목에 실린 문학작품들 이외에 고등학교 과정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한국문학의 좋은 작품들을 싣고 이 작품들을 타당하게 읽을 수 있는 질문들을 접하게 한 후 학생 스스로 생각하게 하고 예시답안을 읽도록 함으로써 학생 스스로 작품 읽기와 감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이 새로운 자습서 집필의 가장 큰 목적 중의 또 하나는 문학작품에 대해 분석, 설명 전달식 수업이 이루어지는 현실에 대한 비판에 있다. 문학작품을 작가와 독자의 의사소통의 하나로 볼 때 독자로서의 학생들이 문학작품을 어떤 방법으로 읽어서 작자의 주제의식과 공감 또는 비판하느냐의 문제는 문학수업과 문학읽기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 중의 하나라고 생각할 수 있다.

 

- <서문>에서

서문

 

. 고전시가의 문학사적 갈래의 특징

고대가요, 향가, 고려속요, 한시, 경기체가, 시조(평시조, 연시조, 사설시조), 조선전기 가사, 조선후기 가사, 잡가, 민요

 

. 작품 깊이 읽기의 예

- 현대시 모란이 피기까지는을 예로

 

. 한시 작품 읽기

1. 관점에 따라 달라지는 공간의 의미(은둔, 도피인가, 고고한 삶의 지향인가)

- 제가야산독서당 (최치원)

2. 가치관을 달리하면 삶의 태도가 바뀌어

- 촉규화 (최치원)

3. 슬픔의 정감의 깊이를 더하는 것은

- 송인 (정지상)

4. 초월인가 초연인가 달관인가 순리인가

- 청산은 나를 보고~ (나옹)

5. 모두가 함께 누리는 자연

- 영정중월 (이규보)

6. 문맥과 맥락에 의해 창조되는 의미

- 사리화 (이제현)

7. 위대한 인간사와 자연의 파노라마

- 부벽루 (이색)

8. ‘가난이라는 단어에 대한 생각

- 독두시 (이색)

9. 우리가 찾는 기쁨은 어디에서 오는가

- 사청사우 (김시습)

10. 나의 그림자, 또 다른 자아

- 몸과 그림자 (김시습)

11. 난초의 의미와 아름다움

- 감우 (허난설헌)

12. 계절의 아름다움과 사랑

- 사시사 (허난설헌)

13. 정서와 정감의 심화

- 자술 (이옥봉)

14. 사회적 평가와 진정한 자아

- 환목어 (이식)

15. 두 공간 속의 시간의 의미

- 불일암 인운 스님에게 (이달)

16. 어려움 속에서도 지향이 있으니

- 속행로난 (이인로)

 

닫기

출판상담문의

오전 9시 ~ 오후 6시

070-4651-3730

세상과 책을 잇는
마중물같은 출판사
지식과감성#

고객센터 전화상담

070-4651-3730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시간 : 11시 25분 ~ 1시)

1:1 온라인 상담

지식과감성# 카카오플러스 친구 추가

메일 또는 카카오톡으로 상담 신청 가능

원고 및 파일전송

웹하드 접속하기
아이디 : ksbookup 비밀번호 : ks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