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책에서는 3가지 안목을 인문학적 사유의 관점에서 정의하고, 이를 어떻게 방법지와 연결해서 과학적으로 구현하고 실생활에 전개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고 책을 구성하였다.
성찰-통찰-통섭으로 이어지는 3가지 안목은 인간이 가지는 고유한 사유의 영역으로, 고도화되는 AI 디지털 시대에 인간이 생존하고 AI과 공존하기 위한 필수 요건임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집필하였다.
Crosmos Management in the Age of Uncertainty
불확실성 시대를 살아가는 통섭경영(洞涉經營)
먼, 미래를 예측한다는 것은
그다지 큰 의미가 없습니다.
상황은 계속해서 변해 갈 뿐입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순간순간의 변화가 가지는
낌새와 의미를 성찰하고
그 구조를 통찰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성찰과 통찰을 통해 우리는
비정형적이고
불확실성이 높은 세상에서
통섭의 지혜와 융합의 가치로
세상을 경영하고
올바른 직관의 힘으로
존재에 대한
공존의 이유를 깨달아
다양성을 조화시켜 가야
하겠습니다.
헌사 │ 프롤로그 │ 서평
제1부
인간이 가지는 사유의 힘으로 AI 시대를 주도하다
1장 인류문명의 갈림길, 4차 산업 혁명의 본질: 관계
1.1 디지털 세상에서 ‘관계’의 속성
1.2 디지털 컴퓨터 사상의 시초
1.3 요약
2장 관계적 사유의 구성과 정의: AI 시대를 주도할 3가지 사유 능력
2.1 관계의 본질을 꿰뚫어 이해하는 본원적 안목(省察)
진정한 객관화와 성찰 │ 성찰의 함의
성찰의 중요성 1 (창조) │ 성찰의 중요성 2 (위험한 지식)
성찰의 실천 1 (질문) │ 성찰의 실천 2 (은유)
2.2 세상을 유연한 동태적 연결로 꿰뚫어 보는 관계적 안목(洞察)
실제 세상은 모두 ‘유연한 동태적 관계’인가?
세상을 ‘유연한 동태적 관계’로 본다는 것
통찰의 중요성
통찰의 실천
2.3 본질과 관계의 이해를 바탕으로 새롭게 엮는 융합적 안목(洞涉)
본질과 관계의 이해를 바탕으로 새롭게 엮어 내는 것
통섭(洞涉)의 중요성
통섭(洞涉)의 실천
3장 관계적 사유(성찰-통찰-통섭)의 실천적 함의
3.1 성찰-통찰-통섭의 연결 구조와 사유의 진화
3.2 성찰-통찰-통섭의 순환 사이클과 정보·지식의 진화
정보와 지식 │ 지혜와 직관
사이클의 진화와 지능화 기술 역할(생성형 AI/Big Data)
3.3 사유 진화의 원추나선 모델과 성찰-통찰-통섭의 위력
모델 응용 주제 1) 진정한 학습
모델 응용 주제 2) 창조 과정과 창의성 요소
모델 응용 주제 3) 정반합 진화 원리와 三才, 온고지신
모델 응용 주제 4) 3유형 인재와 정반합 순환
모델 응용 주제 5) 성과 속의 순환, 뇌의 통합적 인식
모델 응용 주제 6) 사유 진화의 극한
모델 응용 주제 7) 삶의 진화와 원형이정: 論語, 周易
3.4 성찰-통찰-통섭이 가지는 경영학적 가치 함의
디지털 기술이 할 수 없는 경영의 본질
경영의 본질 요소와 위력
경영에서의 선택(성찰-통찰-통섭, 5W)과 시공간
경영의 본질요소들 간의 관계와 자원 배부의 묘수
제2부
성찰-통찰-통섭의 사유를 과학적 방법지에 접목하다
1장 성찰-통찰-통섭의 사유와 과학적 방법지의 연결
1.1 시공간에서 사유의 전개와 시스템-다이내믹스
시스템-다이내믹스의 역사적 배경과 학문적 정의 │ 시스템의 정의 │ 시스템의 중요성(시너지와 고수) │ 시스템의 특성
1.2 인문학과 시스템-다이내믹스 학문의 접점
삼라만상의 ‘이원적 동태성 관계’와 시스템-다이내믹스의 매칭
시스템 정의와 인문학적 사유(성찰-통찰-통섭)의 매칭, 전개 차원
1.3 인문학적 사유(성찰-통찰-통섭)와 시스템 사고의 전개
홀론적 사고 │ 시간적 사고 │ 피드백 사고
시스템 사고를 통한 사유의 오류 교정 메커니즘: 사실적 사고
1.4 시스템 사고를 통한 판(동적시스템)의 시각화
시스템 사고의 실전 전개: 흐르는 강물처럼
시스템 사고의 실전 전개: 사유의 시각화(12가지 Rule)
개념 모델링 CLD 함의와 시행 모델링 SFD
2장 실전 사례 훈련
2.1 모자와 뱃사공
2.2 시스템-다이내믹스 개념 모델링 CLD 실습: 3편
아마존의 냅킨 비즈니스 모델 │ 커피 중독 │ 성장과 분배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