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가(正歌)란 조선시대에 정악의 기풍으로 노래하는 성악곡으로서 가곡, 가사, 시조창을 말한다. 가곡(歌曲)은 정가 중에서도 뛰어난 예술성을 갖추고 있으며, ‘2010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올랐다. 우리의 선인들은 음악을 통해 음양(陰陽)의 균형을 추구하였다. 좌로도 우로도 치우치지 않는 중(中)의 상태를 드러낸 음악이라는 뜻으로 ‘정악(正樂)’이라 불렀다. 이러한 정가중 가곡과 정악을 연주하는 해금보를 만들어 보았다. 기존 악보의 형태가 문헌적 외형적 정리는 잘되어 있지만, 연주자가 쉽게 이용하고 연주하기에는 부적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악보집은 양식을 변경하여 실용을 택했다. 많은 연주자에게 꼭 필요한 악보집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출간한다.
풍류(風流)란 풍치 있고, 멋스럽게 노는 일을 말한다.
“놀아도 허망히 놀면, 아니 노는만 못하다.”라는 말이 있다. 노는 것도 신분에 따라 차이가 있었던 옛 사람들의 흥(興) 돋는 문화를 엿보아 본다.
정가(正歌)란 조선시대에 정악의 기풍으로 노래하는 성악곡으로서 가곡, 가사, 시조창을 말한다. 사대부 선비계층에서 많이 불렀으며, 단조롭게 부르는 것이 특징이다. 가곡(歌曲)은 정가 중에서도 뛰어난 예술성을 갖추고 있다. 흔히 일청이조(一淸二調)라는 말로 표현되기도 한다. 즉 첫째는 맑아야 하고, 둘째는 가락이라는 뜻이다. 가곡은 박자가 얼마나 느린지 서양악기에 사용되는 메트로놈조차도 박자를 측정하기 어렵다. 이 느린 음악이 ‘2010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올랐다. 정가 가운데 오래되고 예술적 완성도가 가장 높은 것은 가곡(歌曲)이다. 곡조에 따라 평조와 계면조로 나뉘고, 빠르기에 따라 삭대엽, 우락, 언락, 평롱, 우롱, 편수대엽 등 여러 곡이 있다. 장단은 기본 장단인 10점 16박 장단과 10점 10박 장단 두 가지가 있다. 창법에 따라 남창과 여창이 있는데 지금까지 전승되는 가곡은 남창 26곡 여창 15곡이 전해지고 있다. 연주는 창자(唱者) 이외에 반주악기로는 거문고, 가야금, 대금, 세피리, 단소, 해금, 현금, 양금, 장구 등 여러 악기가 사용되고 있다. 대여음은 전주곡에 해당하고, 중여음은 간주곡에 해당되어 완벽한 형식미를 갖추고 있다.
왜? 해금 악보인가…
현악기와 관악기의 쓰임새에 차이가 있다. 현악기는 주로 노래의 골격선율을 연주한다. 반면 관악기는 골격 선율을 여러 가락으로 장식하여, 조화롭고 멋스러운 음악을 만들어 낸다. 가곡을 노래하려면 골격선율을 연주하는 해금보(奚䔷譜)를 보고 익히는 것이 주요(主要)하다. 해금보에 정가의 가사를 달아 놓았다.
서양에 온음계 ‘도 레 미 파 솔 라 시’와 반음계 12개의 음이 있다면, 우리에겐 12율명이 있다.
양성: 황종 태주 고선 유빈 이칙 무역
음성: 대려 협종 중려 임종 남려 응종
우리의 선인들은 음악을 통해 음양(陰陽)의 균형을 추구하였다. 좌로도 우로도 치우치지 않는 중(中)의 상태를 드러낸 음악이라는 뜻으로 ‘정악(正樂)’이라 불렀다. 정악과 친해지려면 얼마간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번 친해지면, 오랜 역사를 거쳐 이어 온 풍류음악의 다양한 멋과 깊이에 빠지게 된다. 아는 만큼 들리는 것이 ‘음악’이라 했던가. 복색(服色)이 신분을 가르던 시대에 음악 또한 창작자와 향유자에 따라 정악과 민속악으로 구분하였다. 궁중에서 연주되던 ‘궁중음악’과 지식층이 즐기던 ‘풍류방 음악’이 정악으로 분류된다. 참고로 민속악은 판소리, 민요, 시나위, 산조, 풍물놀이, 농악 등을 말하며 민간에서 창작되고 전해 내려오는 음악이다.
전통음악의 특징 가운데 하나로 계기성(繼起性)과 연속성을 들 수 있다. 정악의 대명사격인 영산회상은 9곡이 끊어짐 없이 계속 연주된다. 하지만 요즘은 가운데 한두 곡을 별도로 연주하기도 한다. 문제는 이러한 계기성 때문인지 거의 모든 악보들이 중간부분이 잘려 다음 페이지로 넘겨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기존 악보의 형태가 문헌적 외형적 정리는 잘되어 있지만, 연주자가 쉽게 이용하고 연주하기에는 부적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악보집은 양식을 변경하여 실용을 택했다. 악보의 학문적, 문헌적 가치도 필요로 하겠지만, 연주자에게 실용 가치가 높고, 악곡을 연습하고 연주하기에 적합하도록 제작하였다. 많은 연주자에게 꼭 필요한 악보집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출간한다.
악보를 발간하면서
제1부 정가
01. 남창 평조 초수대엽(東窓창이 밝았느냐)
02. 남창 평조 이수대엽(江湖에 期約을 두고)
03. 남창 평조 중거(人心은 터히되고)
04. 남창 평조 평거(景星出 卿雲興허니)
05. 남창 평조 두거(구름이 無心탄 말이)
06. 남창 평조 삼수대엽(挑花 李花 杏花 芳草들아)
07. 남창 평조 소용(불 아니 땔지라도)
08. 남창 평조 우롱(三月三日 李白桃紅)
09. 남창 평조 우락(조다가 낚시대를 읽고)
10. 남창 평조 언락(碧沙窓이 어문어문커 늘)
11. 남창 평조 우편(鳳凰臺上 鳳凰遊러니)
12. 남창 평조~계면조 반엽(三月三日 李白桃紅)
01. 남창 계면조 초수대엽(靑石嶺 지내거다)
02. 남창 계면조 이수대엽(잘새는 날아들고)
03. 남창 계면조 중거(淸風 北窓下에)
04. 남창 계면조 평거(半넘어 늙었으니)
05. 남창 계면조 두거(岳陽樓에 올라앉어)
06. 남창 계면조 삼수대엽(夕陽에 醉興을 겨워)
07. 남창 계면조 소용(어흐마 긔 뉘 오신고)
08. 남창 계면조 언롱(李太白의 酒量은)
09. 남창 계면조 평롱(月正明 月正明커늘)
10. 남창 계면조 계락(鐵驄馬 타고 보라매 받고)
11. 남창 계면조 편락(나무도 바히돌도)
12. 남창 계면조 편수대엽(鎭國名山 萬文峰이)
13. 남창 계면조 언편(寒松亭 자진솔 뷔여)
14. 남창 계면조 태평가(이랴도 太平聖代)
01. 여창 평조 이수대엽(버들은 실이되고)
02. 여창 평조 중거(靑鳥야 오도고야)
03. 여창 평조 평거(一笑 百媚生이)
04. 여창 평조 두거(一刻이 三秋라 허니)
05. 여창 평조 우락(바람은 地動치듯 불고)
06. 여창 평조~계면조 반엽(남하여 편지 傳치말고)
01. 여창 계면조 이수대엽(言約이 늦어가니)
02. 여창 계면조 중거(山村에 밤이 드니)
03. 여창 계면조 평거(楚江 漁夫들아)
04. 여창 계면조 두거(任戌之 秋七月 旣望에)
05. 여창 계면조 평롱(北斗七星 하나 둘 셋 넷)
06. 여창 계면조 계락(靑山도 절로절로)
07. 여창 평조~계면조 환계락(앞내나 뒷내나 중에)
08. 여창 계면조 편수대엽(牡丹은 花中王이요)
09. 여창 계면조 태평가(이랴도 太平聖代)
제2부 정악
01. 유초신지곡 상령산(上靈山)
02. 유초신지곡 중령산(中靈山)
03. 유초신지곡 세령산(細靈山)
04. 유초신지곡 가락더리(加樂除只)
05. 유초신지곡 상현도드리(上絃還入)
06. 유초신지곡 염불도드리(念佛還入)
07. 유초신지곡 타령(打令)
08. 유초신지곡 군악(軍樂)
09. 중광지곡 상령산(上靈山)
10. 중광지곡 중령산(中靈山)
11. 중광지곡 세령산(細靈山)
12. 중광지곡 가락더리(加樂除只)
13. 중광지곡 상현도드리(上絃還入)
14. 중광지곡 하현도드리(下絃還入)
15. 중광지곡 염불도드리(念佛還入)
16. 중광지곡 타령(打令)
17. 중광지곡 군악(軍樂)
18. 미환입 수연장지곡(壽延長之曲)
19. 세환입 송구여지곡(頌九如之曲)
20. 천년만세 계면가락도드리(界面加樂還入)
21. 천년만세 양청도드리(兩淸還入)
22. 천년만세 우조가락도드리(羽調加樂還入)
23. 빗가락정읍 수제천(壽齊天)
24. 세가락정읍 동동(動動)
25. 취타 만파정식지곡(萬波停息之曲)
26. 취타 절화(折花)·길군악
27. 취타 일승월항(一昇月恒)·길타령
28. 취타 금전악(金殿樂)·별우조타령
29. 취타 군악(軍樂)
30. 표정만방지곡 상령산(上靈山)
31. 표정만방지곡 중령산(中靈山)
32. 표정만방지곡 세령산(細靈山)
33. 표정만방지곡 가락더리(加樂除只)
34. 표정만방지곡 삼현도드리(三絃還入)
35. 표정만방지곡 염불도드리(念佛還入)
36. 표정만방지곡 타령(打令)
37. 표정만방지곡 군악(軍樂)
응원의 글
추천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