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인 안태영의 시조와 수필을 함께 엮은 특별한 4번째 작품집. 이번에는 강원도 영월군의 구석구석을 다니면서 관찰한 내용을 100개의 장(景)으로 나누어 실었다. 발로 뛰면서 꾸준히 기록한 시상(詩想)과 산행 정보, 곳곳의 역사지식, 사색의 흔적 등을 망라하고 있다.
평생 교육자로 살아온 이력을 지닌 저자 안태영 시조인의 네 번째 작품집이다. 지난 2022년 세 번째 작품집 『시조로 그린 제천백경』을 선보인 이후 줄곧 천착해 온 강원도 영월군을 소재로 삼은 책이다. 영월의 역사, 인물, 문화, 산천, 마을 이야기를 망라하여 발로 뛰며 쓴 생생한 시조 작품과 수필을 하나씩 묶어 담았다. 『영월드에서 얻은 소소한 깨달음』이라는 제목처럼 이 책에는 발품을 팔며 챙긴 작지만 소중한 깨달음이 가득하다.
영월에 대한 안내서가 없지 않겠지만, 이 책은 단순한 안내 서적에서는 전혀 볼 수 없는 많은 것들을 담고 있다. 소소한 정보에서부터 망막에 비친 현장이 주는 느낌, 감동 그리고 그 안에 담긴 다양한 역사 에피소드까지 온갖 흥밋거리들이 빼곡하다. 아마도 이 책을 탐독한다면, 영월에 관한 한 ‘모르는 게 없다’고 장담해도 될 만큼 내용이 풍부하다. 영월을 보러 가는 사람들에게는 꼭 읽어 보아야 할 필독서로서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옛날 우리 선인들은 삼천리금수강산을 주유하면서 가는 곳마다 시를 지어 읊조리고, 역사의 현장들을 돌아보며 사색하는 풍류를 최고의 낭만으로 여겼다. 지난 35년 동안 1만 회 이상 산행을 한 시조인 안태영은 이미 오래전부터 조선 선비들과 같은 멋들어진 삶을 살아왔는지도 모른다. 아니 그런 남다른 일상과 여정이 있었기에 그의 시조 작품은 깊이와 상징, 표현에 있어서 남다른 경지에 도달하게 된 것이리라.
많은 정보와 사색의 진수들을 담아낸 이 작품집을 읽는 독자들에게 저자는 그러나 ‘시조를 중심으로 읽어주실 것’을 정중히 당부한다. 시조를 음미하며 읽고, 관련된 수필을 차례로 읽는 동안 마치 현장에 가 있는 듯한 감상에 젖을 수 있을 것이다. 시조인 안태영의 작품은 문단은 물론 많은 독자가 그 수준을 인정하고 경탄한다. 100경을 차례로 읽되, 시조와 잇달린 수필을 읽은 다음 앞쪽 시조를 한 번 더 읽으면 더욱 뒷맛이 쫄깃하다는 힌트를 드린다.
시조집, 수필집으로 나눠 작품집을 따로 출판하는 게 상례인 풍조에서 영월이라는 한 지역을 놓고 이렇게 미시적으로 꼼꼼히 들여다보며 산천과 역사, 문화, 인물들을 시조·수필로 묶어서 편편이 조명한 창작집은 특별하다. 시조인 안태영의 역작 『영월드에서 얻은 소소한 깨달음』이 ‘새로운 시도’라는 희귀성과 함께, 다양한 깨달음을 주는 감동의 깊이로 인해 독자 제위들의 기대에 흡족하게 부응할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영월 1경』
장릉, 나는 아리랑이고 아이돌이다
내 생은
꽃샘바람
봄 없는 왕이었다
역사는
강이 되어
미래로 흘러간다
단종은
아리랑이다
사랑이다 꽃이다
♣ 장릉은 백성들의 아리랑이자 수국(水菊)이다
장릉(莊陵)은 “열일곱 나이로 한 많은 삶을 살다 간 단종의 어린 넋이 잠든 곳이다. 영월 읍내에서 3.1㎞ 거리인 북쪽 동을지산 자락에 있는 마을이다.”
단종의 정식 시호는 단종공의온문순정안장경순돈효대왕(端宗恭懿溫文純定安莊景順敦孝大王)입니다.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단종로 190에 있는 장릉은 십칠 년 짧은 생을 마감한 단종 임금의 슬픈 삶의 현장입니다. 승하하신 지 567년이 지난 지금까지 백성들이 가장 좋아했던 민요인 아리랑이자 한 많은 사연을 간직한 역사의 아이돌입니다.
수많은 꽃잎으로 한 송이 수국이 된 것처럼, 단종의 17년 생애도 이젠 그리움으로 승화되어 장릉은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들도 많이 탐방하는 명승지가 되었습니다. 어쩌면 역사는 향기롭고 거대한 이야기꽃입니다. 오늘날 현대인들이 좋아하고 감동하는 가슴 뭉클한 스토리가 있는 여기는, 영월입니다.
먹거리와 볼거리가 줄지어 기다리는 곳, 건강하고 정겨운 사람들이 오순도순 상생하며 살아가는 곳, 마대산 기슭에 김삿갓 김병연 님의 거주지와 유적이 가득한 곳, 동강과 서강이 만나 하나가 되어 흘러가는 남한강 맑은 물소리에 사시사철 웃음꽃이 만발한 곳, 17세의 푸른 왕이 기다리시는 이곳은 새로운 세상, 웰컴 투 영월드!
『영월 11경』
단종공의온문순정안장경순돈효대왕, 나는 영월드다
너와 나
푸른 나무
울창한 산이어라
동강과
서강 닮은
우리는 강이어라
그대여
잊지 말아라
생과 사는 하나다
♣ 단종 대왕, 하늘은 청각장애인인가?
나무가 내뿜는 피톤치드(phytoncide)는 사람 몸속의 나쁜 병균을 없애주거나 유해물질을 중화시키기도 한다. 세로토닌(serotonin)은 뇌에서 분비되는 신경 전달 물질인데 만족감이나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다. 숲의 흙 속에 있는 미생물은 세로토닌을 많이 생성시킨다고 하며, 우울증 천연 치료제로도 알려져 있다. 그래서 숲길 산책은 건강에 매우 유익하다.
나무의 유익함이 이렇게 큰데, 사연 많은 사람의 숲은 말해 무엇하겠습니까. 영월의 산천과 역사의 숲을 탐사하면서 건강한 깨달음의 기쁨을 얻습니다. 마치 동강과 서강이 합수하여 더 깊고 넓은 남한강이 되는 것과 같습니다.
동강 서강이 없는 영월을 생각할 수 없듯이, 단종 대왕도 그렇습니다. 단종의 인생은 짧고 애틋하여 강처럼 후손들 가슴 들판에 스며듭니다.
“하늘은 귀머거리인가, 애달픈 하소연 어이 듣지 못하는가(天聾尙未聞哀訴)”
하늘은 예나 지금이나 약자 편이 아닌가 봅니다. 허공이 무슨 힘이 있겠습니까마는, 하소연을 들어 주는 귀는 있는가 봅니다. 사람이 하늘이고 자신도 사람임을 단종 임금님도 모르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인생은 짧고, 사연 많은 이야기는 동강과 서강처럼 합수해서 길고 깁니다.
『영월 12경』
엄흥도(嚴興道), 곶감으로 사는 법
껍질을
다 벗기고
씨앗도 발라낸다
끈적한
피가 흘러
살갗을 둘러싸면
꿰뚫은
대꼬챙이에
흰 희망이 생긴다
♣ 충의공 엄흥도(嚴興道), 우리의 희망이고 빛입니다
엄흥도 님은 동강과 서강처럼 영원과 합류하여 남한강으로 새로 태어납니다.
엄흥도 님은 영월, 나아가 우리나라 정신의 면역세포입니다.
엄흥도 님은 금몽암 숲과 같아 몸과 마음이 건강한 정신으로 합수합니다.
영월 호장 엄흥도는 두려움을 안고 강물에서 단종의 시신을 수습합니다. 노산군은 금부도사 왕방연이 가지고 온 사약을 받고 승하합니다. 옥체는 겨울 동강에 던져지고 시비들은 절벽에서 투신절사(投身節死)합니다. 엄흥도는 군수에게 성장(聖裝)을 청하였으나 거절당합니다. 그러나 서강과 동강이 합류하는 곳으로 달려가 옥체를 인양합니다. 미리 준비한 관에 봉안하고 동을지산(冬乙支山)에 암장하고 자취를 감춥니다.
1759년(영조 34년) 엄흥도를 공조판서로 추봉하여 사육신 정렬에 배향합니다. 1833년(순조 33년) 공조판서에 추증, 고종 13년에 충의공 시호를 내립니다. 사육신과 함께 영월 창절사(彰節祠)에 배향되었습니다.
충의공 엄흥도의 정신은 수많은 열사와 의사로 이어져 빛과 소금이됩니다.
희생과 헌신 중에 가장 어려운 것이 ‘자신의 목숨’이라고 합니다. 엄흥도 님은 자신과 가족, 멸문지화의 두려움을 이겨낸 의사요 열사입니다.
『영월 14경』
방랑시인 김삿갓, 삶과 이별의 경계에 강으로 흐르다
강으로
눕지 않고
흐를 수 없는 운명
이렇게
많은 돌이
내 속에 살 줄이야
살아선
멈출 수 없는
그래 나는 삶이다
♣ 방랑시인 김삿갓, ‘아, 시조로 썼다면 노벨문학상을!’
남이 자신을 멀리하면 고독이지만, 내가 남을 멀리하면 자유다.
방랑시인 김삿갓은 고독일까요 자유일까요.
161년 전에 떠난 김삿갓 님이 들었다면 콧방귀를 뀔 수도 있겠지요. 말이 좋아 방랑이지, 하루 한 끼 먹기도 힘든 노숙자의 삶이었겠지요.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김삿갓은 가족을 버리고 이웃을 멀리했습니다. 타인은 결코 알 수 없는 시대적인 사연과 현실적인 속사정이 있었겠지요.
난고(蘭皐) 김병연(1807~1863)은 방랑의 시인이자 조선의 아이돌입니다.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김삿갓면 와석리에 「난고 김삿갓문학관」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숱한 문학관 중에 유료 방문객이 가장 많은 문학관일 것입니다. 삶과 죽음, 시대와 역사를 풍자한 한시 중에는 천재적인 작품이 많습니다.
아, 시조로 썼다면…… 문학관 이름이 길어졌을 것입니다.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난고 김삿갓문학관」!
축사 이시찬 (문학의봄 발행인)
1부. 『영월 10경』에서 얻은 소소한 깨달음
『영월 1경』 장릉, 나는 아리랑이고 아이돌이다
『영월 2경』 청령포, 육백 년 관음송이 말씀하셨다
『영월 3경』 별마로천문대, 신이 내린 선물을 그대에게!
『영월 4경』 김삿갓 유적지, 난고당을 쓸고 닦다
『영월 5경』 고씨굴, 타임머신을 타고 4억 년의 시공을 여행하다
『영월 6경』 선돌, 누구를 기다리나
『영월 7경』 어라연, 깨달음의 용이 되다
『영월 8경』 한반도 지형, 서강이 바다로 가는 법
『영월 9경』 법흥사, 진신사리로 피는 적멸의 꽃
『영월 10경』 요선정 요선암, 물과 바람이 빚은 영겁을 만나다
2부. 영월의 인물에서 얻은 소소한 깨달음
『영월 11경』 단종공의온문순정안장경순돈효대왕, 나는 영월드다
『영월 12경』 엄흥도(嚴興道), 곶감으로 사는 법
『영월 13경』 정사종(丁嗣宗), 공명을 구하지 말라
『영월 14경』 방랑시인 김삿갓, 삶과 이별의 경계에 강으로 흐르다
『영월 15경』 추익한(秋益漢), 수라리재에서 피를 토하다
『영월 16경』 고종원(高宗遠), 구차한 목숨을 붓 삼아 『기천록』을 쓰노라
『영월 17경』 의병장 윤기영(尹基永), 치욕을 당하고 싶지 않다
『영월 18경』 김동관(金東觀), 하루만 희망을 품고 먹을 갈면 좋겠네
『영월 19경』 김상태(金尙台), 하루만 일상생활로 걱정하면 좋겠네
『영월 20경』 정대억(丁大億), 하루만 우리 땅에서 잠이 들면 좋겠네
『영월 21경』 장기영(張基永), 하루만 너털웃음을 웃었으면 좋겠네
『영월 22경』 심명보(沈明輔), 가장 건강한 사랑의 온도는 몇 도일까요?
『영월 23경』 김어수(金魚水), 이 짙은 향기를 어이하리
『영월 24경』 효자 금사하, 의호총(義虎塚) 앞에 서보라
『영월 25경』 명나라 환관 연달마실리(延撻磨失里), 고향 땅 영월에 그리움을 선물하다
『영월 26경』 고려 신영숙(辛永叔), 삼 일도 힘들다고 함을 들고 우는가
『영월 27경』 영월군수 김현석(金玄錫), 나의 아버지는 절의파 김문기다
『영월 28경』 박충원(朴忠元), 그물도 넣지 않고 부표만 던지는가
3부. 영월의 문화와 명소에서 얻은 소소한 깨달음
『영월 29경』 영월 서부시장, 방랑시인 김삿갓을 만나다
『영월 30경』 단종문화제, 어제와 내일의 경계에 피는 오늘의 축제
『영월 31경』 영월 덕포오일장, 동강을 팔다
『영월 32경』 금강공원, 동강이 흘러간다고 잊을 수 있겠는가
『영월 33경』 어시리 산림공원, 꽃 대궐이다
『영월 34경』 영월부 관아, 관풍헌과 자규루 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영월 35경』 창절사와 창절서원, 인생은 짧고 의리는 길다
『영월 36경』 세경대학교, 인생은 한 줄기 강과 같단다
『영월 37경』 연당원, 연당의 정원엔 용이 산다
『영월 38경』 보덕사, 육백 년 느티나무는 왜 말씀이 없을까
『영월 39경』 금몽암, 유배 중인 자는 꿈도 꾸지 말라
『영월 40경』 왕방연 시조비, 흔들어 깨워야만 역사는 흐르는가
『영월 41경』 빙허루(憑虛樓), 뜨고 싶은 자, 내 품으로 오시라
『영월 42경』 주천느림길, 희망은 아직 가보지 않은 너에 대한 꿈이다
『영월 43경』 엄흥도(嚴興道) 기념관과 묘역, 내가 달게 받겠노라
『영월 44경』 장릉 물무리골 생태학습원, 세상에! 장릉 뒤에 이런 곳이
『영월 45경』 노루조각공원, 눈에 보이는 사랑입니다
4부. 영월의 산에서 얻은 소소한 깨달음
『영월 46경』 계족산(890m), 정상이 아니구나
『영월 47경』 구봉대산(870m), 생로병사라는 신비한 연꽃송이
『영월 48경』 망경대산(1,088m), 김삿갓과 와인 한 잔
『영월 49경』 백덕산(1,350m), 백 봉을 덕으로 다스리다
『영월 50경』 봉래산(799.8m), 세상을 넘어 우주를 품다
『영월 51경』 완택산(916m), 빙그레 웃는 이유(빙그레 웃을 莞, 못 澤)
『영월 52경』 태화산(1,027m), 사랑으로 품은 큰 꽃이다
『영월 53경』 마대산(1,052m), 떠나지 못한 사랑
『영월 54경』 설구산(503m), 엎드린 흰 거북
『영월 55경』 망산(377.6m) 마이봉(403m) 사태봉(458m), 주천강으로 흐른다
『영월 56경』 매봉산(1,267.7m), 함께 있되 거리를 두라
『영월 57경』 선바위산(1,042m), 앞만 보고 판단하지 말라
『영월 58경』 단풍산(1,150m), 솔고개 왕소나무는 단풍 들지 않는다
『영월 59경』 운교산(922.4m), 불에 탄 나무들의 고백
『영월 60경』 목우산(1,066m), 램블러 없이는 삶의 길을 찾기 어렵다
『영월 61경』 삼방산(980m), 맑은 공기 사랑길로 가라
『영월 62경』 솔미산(388m), 흰 감자꽃 피는 오월에 오너라
『영월 63경』 오로산(520.5m), 자식은 밖에 내놓은 심장이라 했던가
『영월 64경』 구룡산(966m), 아홉 마리 용을 하늘로 돌려보내세요
『영월 65경』 장산(1,408m), 흔적을 남겨야 돌아올 수 있다
『영월 66경』 응봉산(1,013m), 진정한 깨달음을 얻은 사람은 어떻게 살까
『영월 67경』 고고산(853m), 정상만 산이 아니란다
『영월 68경』 능암덕산(815m), 무엇을 전하려고 기다리고 있었을까
『영월 69경』 장성산(694.5m), 꽃 지는 그날부터 꽃 피울 준비하지
『영월 70경』 어래산(1,063.6m), 산은 원래 길이 없느니라
『영월 71경』 발산(667m), 장릉의 밀서를 품고 맑은 물로 흐른다
『영월 72경』 시루산(685m), 가시밭길도 길이다
『영월 73경』 덕가산(832m), 폭포는 제 살 깎아 무엇을 하려는가
『영월 74경』 사자산(1,180m), 거대한 바위 목탁을 왜 두드리는 걸까
『영월 75경』 삿갓봉(1,028.8m), 당신이 원하는 모든 것은 두려움 저편에 존재한다
『영월 76경』 안산(?m), 산은 산이요, 나는 나로구나
5부. 강마을 산마을에서 얻은 소소한 깨달음
『영월 77경』 연당, 추억과 연인이 기다리고 있는 꽃밭 같아
『영월 78경』 녹전, 나무들의 꿈이 이목천과 옥동천으로 흐른다
『영월 79경』 방절리 강변저류지공원, 느티나무 기다리는 언덕에 오라
『영월 80경』 후탄리, 꽃병마을에는 ‘그대’라는 절벽이 서 있다
『영월 81경』 하송리 은행나무, 천이백 년을 사는 비법을 보여주다
『영월 82경』 영흥리 「능말도시숲」, 나무는 나무임을 버려서 숲이 된다
『영월 83경』 주천면 금마리(金馬里), 충절의 꽃밭 「독립만세상(獨立萬歲像)」
『영월 84경』 한반도면 「한반도습지생태문화관」, 습지가 잘 보이지 않는 이유
『영월 85경』 구래리 「꼴두바위」의 예언, 찬란한 꽃이 다시 필 날 올 거다
『영월 86경』 김삿갓면 김삿갓계곡, 스스로 빛나면 세상이 찾게 된다
『영월 87경』 무릉도원면 법흥계곡, 사랑과 용서로 흘러가는 마음의 자전거다
『영월 88경』 내리계곡, 마음도 제 살 깎아야 맑은 물이 흐른다
『영월 89경』 상동 이끼계곡, 바위도 닳고 깎이면 화엄경이 되는가
『영월 90경』 상동 칠랑이계곡, 영월군 최고봉 장산(1,408m)의 맑은 어명이다
『영월 91경』 무릉도원면 운학계곡과 두산리계곡, 이런 명품 계곡이 있었구나!
『영월 92경』 영월읍 이야기, 열한 개 마을이 왕과 함께 삽니다
『영월 93경』 영월군 남면, 조리재에서 쇠말뚝을 뽑아내는 방법
『영월 94경』 영월군 김삿갓면, 내 고향 영월 땅 노루목엔 언제 돌아가려나
『영월 95경』 영월군 산솔면, 계곡도 함께 가야 행복하다
『영월 96경』 영월군 상동읍, 배려와 베풂과 용서와 사랑이라는 꿀을 품고 산다
『영월 97경』 영월군 북면, 내일이 와준다면 그건 축복이지
『영월 98경』 영월군 한반도면, 홀로 자신의 전망대에 올라 조망해야 한다
『영월 99경』 영월군 주천면, 종소리가 아름다워야 종이지요
『영월 100경』 영월군 무릉도원면, 복사꽃 꿈이 가득하지 않은가
작가 후기 영월드, 새로운 세계로의 긴 여행을 마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