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축제의 시초인 개천예술제를 재해석하다! 이제는 우리도 외국의 이론에만 의존하지 않고 70여 년 이상 축적해 온 우리만의 현대축제를 살필 때이다. 역사, 공간 및 주체 등 다양한 부분을 아울러 지역축제의 정체성과 축제다움을 논의할 수 있는 최소의 조건을 갖추고 있는 개천예술제를 이 책을 통해 만나 보기 바란다.
“축제는 온전히 인간이 창조해서 향수(享受)한 것이다.”
따라서 한 지역의 인간 공동체가 어떠한 고유의 문화적 창의성과 상상력을 바탕으로 축제를 창조하였는지를 중심으로 축제의 본질에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세계대전이라는 소용돌이가 몰고 온 패러다임의 변화는 오늘날 새롭게 부각되는 뉴노멀 못지않은 개념과 정의들을 등장시켰다. 그 한가운데 1947년 영국 에든버러에서는 현대축제가 출발하였다. 전통축제에서는 신성성을 강조하며 제단 위에서 신을 즐겁게 하고 노여움을 풀게 하던 제사와 축의가 목적이었다. 반면에 현대축제는 그 대상이 예술과 사람으로 바뀌고 혁명적 요소가 축제에 가미되었다. 한국 역시 1949년 개천예술제가 태동함으로써 외국의 축제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현대축제가 시작되었다. 제의성을 넘어서 문화예술 장르와 사람이 축제의 대상이 된 것이다.
한국의 현대축제 시작점이 개천예술제이기 때문에 결국 개천예술제를 분석한다는 것은 한국의 현대축제 역사를 되짚는 과정과 동일하다. 개천예술제를 한갓 지역축제의 효시로만 치부할 수 없는 이유다.
감사의 글
Ⅰ. 한국축제의 이론적 논의와 방향
1. 한국축제의 현재
2. 한국축제의 축제이론 연구 현황
3. 지역축제 기반 축제이론
Ⅱ. 지역축제의 기본 구조와 논의 기준
1. 한국 지역축제 개관
1) 지역축제 성립기반
2) 지역축제의 구성요소
2. 가치시스템으로서의 축제 이해
1) 가치사슬로서의 축제 구조 이해
2) 근현대이행기 축제사의 시스템적 이해
3. 축제 개최의 목적
1) 지역의 목적
2) 지역민의 기대
3) 향수자의 욕구 충족
4) 관련 단체의 가치 실현
4. 지역축제 분석의 기본 구조
1) 역사
2) 공간
3) 주체
5. 지역축제 논의 기준
1) 재맥락화 기반으로서의 역사
2) 재의미화 기반으로서의 공간
3) 축제 운영 핵심으로서의 주체
Ⅲ. 지역축제 분석과 논의 틀 적용
1. 개천예술제의 이해
1) 부문별 역사 반영의 특징
2) 기능 중심의 공간 이해
3) 주체의 인식과 특성
2. 개천예술제 분석
1) 역사반영의 한계
2) 공간기능의 변화
3) 주체 인식의 한계
3. 축제이론의 지역축제 적용과 결과
1) 역사의 재맥락화
2) 공간의 재의미화
3) 주체의 인식변화
4. 지역축제모델로서 개천예술제의 지향점
1) 새로운 전통 만들기와 역사
2) 공간의 장소성 강화
3) 향수자 중심의 축제와 주체
Ⅳ. 지역축제모델 설계
1. 개천예술제의 축제모델 디자인
1) 개천예술제의 다른 관점화
2) 개천예술제의 콘텐츠 디자인
2. 개천예술제의 킬러콘텐츠 개발
1) 킬러콘텐츠 특성화
2) 소프트웨어 전략
3) 라키비움과 축제모델
Ⅴ. 결론
참고문헌
Ⅰ. 국내문헌
1. 단행본
2. 연구논문
3. 기타
Ⅱ. 국외문헌
Ⅲ. 누리집 및 언론
부록
부록 1. 영남예술제 명명기 창제 및 취지문의 변화(1949-1958년)
부록 2. 영남예술제 명명기 취지문(1949-1958년)
부록 3. 개천예술제 명명기 취지문 일부(1959-1981년)
부록 4. 개천예술제 분류표
부록 5. 각 시기별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