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부님이신 경와敬窩 권호윤權鎬胤 공에 대한 내 기억은 희미하다. 초등학교 들어간 다음으로 생각되는데, 조부님께서 소정리에 있던 큰댁 사랑방에 병환으로 누워계실 때 어른들이 근심스러운 표정으로 약시중을 들던 모습이 어렴풋이 기억난다. 하지만 내게 조부님은 선친의 말씀과 모습을 통해 큰선비의 전형으로 뚜렷이 각인되어 있다. 선친께서는 평생 외딴 산골 소정리에서 주경야독하는 삶을 사셨는데, 평소에 “아버지 살아계실 때 글을 더 배워야 하는데 못 배운 게 한이 된다”고 수없이 말씀하셨다. 그리고 겨울 농한기가 되면 탑선대 강당 뒷집에 사셨던 강대균姜大均 어른이나 멀리 봉화 석평리에 사셨던 권정선權正善 어른에게 책 보퉁이를 끼고 글을 배우러 가시던 모습이 떠오른다. 그리고 나에게 자주, “네 조부는 큰 선비셨지. 서울에서 활동하시는 이가원李家源 선생과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일하시는 김철희金喆熙 선생과는 동문수학한 사이란다”라고 말씀하셨다. 그리고 겨울이 되면 밤마다 수전증을 걱정하시면서 작은 붓으로 경와유고를 정사하시던 모습을 뵐 수 있었다. 내가 서울에서 대학생활을 하게 된 다음 어느 해 여름방학에 고향 집에 갔을 때, 선친께서는 조부님께서 쓰신 기행문 서정기西征記를 펼쳐 보이며 읽어보라고 하셨다. 더듬거리며 읽고 있자니, 몇 자 알아보는 것이 대견하다면서 한문을 더 공부해서 문리가 트였으면 좋겠다는 말씀도 하셨다. 이렇게 조부님은 선친을 통해 어린 시절 내 삶의 지향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 머리말 中에서
사진들 4
경와유고 해제를 대신하여 | 권경인權景寅 30
시詩
국역 경와유고
서序 | 이국원李國源 48
송재식 부친의 회갑 운에 따라 삼가 짓다 謹次宋在軾大人?席韻 50
계유(1933)년 겨울 연민 이가원과 함께 관란헌에서 독서하며
달밤에 함께 읊다 癸酉冬與李淵民家源讀書于觀瀾軒月夜共吟 51
차운을 덧붙인다 - 이가원 次韻附 李家源 52
석간대에서 이 연민11)
을 송별하며 石澗臺送別李淵民 52
차운을 덧붙인다 - 이가원次韻附 李家源 53
달밤에 국화를 감상하다 月夜賞菊 54
정축년 가을 척형 금용헌계문과 함께 호서로 가서 수양포에
묵으면서 달 아래 함께 읊다
丁丑秋與琴戚兄繼文鏞憲之湖西 宿垂楊浦 月下共吟 55
시산 류동준 공에게 올리다 정묘 (1927)
上時山柳公東濬 丁卯 55
차운을 덧붙인다 - 류동준 次韻附 柳東濬 56
봉남 이기호 공의 매죽필통운에 따라 삼가 짓다
謹次鳳南李公?浩梅竹筆筒韻 57
한밤중에 스스로 탄식하다 中夜自嘆 57
봄날에 우연히 읊다 春日偶吟 58
한벽루에서 퇴계 선생 운에 따라 삼가 짓다
寒碧樓謹次退溪先生韻 58
춘당 회갑 잔치에서 공경히 시 두 절을 읊다 기묘 (1939)
春堂獻壽席敬吟二節 己卯 59
차운을 덧붙인다, 애간 이화성 次韻附 愛????李和聖 60
또, 오산 김제면 又, 梧山金濟冕 60
또, 국은 이원종 又, 菊隱李源宗 61
또, 산암 이지연 又, 山庵李智淵 62
또, 자포 금경규 又, 紫圃琴絅奎 63
또, 자포 금경규 又, 紫圃琴絅奎 63
와우산재에 쓴다 題臥牛山齋 64
침소정에 쓴다 題枕蘇亭 65
동생 윤일 호순이 거처하는 집을 간송이라 편액하매
시를 읊어 주다 舍弟允一鎬舜扁齋澗松因吟以贈 66
신묘(1951) 정월 28일 대설에 감상을 읊다
辛卯正月二十八日大雪感吟 67
족형 주보 호석의 옛집을 지나며 過族兄周甫鎬奭舊居 68
지하 금강산을 듣고서 聞地下金剛山 69
김병헌 공의 모암 운에 따라 삼가 짓다 謹次金公炳憲慕庵韻 69
산신령을 대신하여 조롱하다 代山靈嘲 70
밀양에서 홍만부 일순을 이별하며 密陽別洪萬敷一淳 70
장형석 성민 군이 변방에 있으면서 시를 부쳐와 감동하여
그 시의 운에 따라 지어 주다 張君聖敏炯錫在邊寄詩感走其韻以贈 71
경암 벽 위에 쓰다 書景庵壁上 71
기나긴 밤에 탄식하며 長夜歎 72
산골 집에서 깨달음 山齋悟言 74
이창연의 갈곡 우사를 방문하다 訪李彰淵於葛谷寓舍 74
차가운 군대를 보내며 送寒軍 75
외출했다가 산으로 돌아와 自外歸山 77
달밤에 거문고 타며 月夜彈琴 78
사백 구하서 집 벽 위에 쓰다 書具詞伯夏書壁上 78
사백 호윤에게 절하며 올리다. 이진국 拜呈詞伯鎬胤 李鎭國 79
권 석수 사백에게 드린다 奉呈權錫?詞伯 김철희金喆熙 80
기축(1949) 겨울 토계에서 피난하다 己丑冬避亂于土溪 80
기축(1949) 섣달 그믐 己丑除夕 81
이탁 공의 회갑 잔치 운에 따라 삼가 짓다 謹次李公鐸?宴韻 81
이병원 군과 헤어진 지 오래다. … 시를 두 수 읊어 주다.
李君炳元別余久矣 … 因吟以呈二首 82
국사 정화섭 어른의 국화 감상 운에 따라 삼가 짓다
謹次菊史鄭丈華燮賞菊韻 83
달밤에 우연히 읊다 月夜偶吟 83
화봉신씨 재사 신축 운에 따라 삼가 짓다
謹次禾峯辛氏齋舍新築韻 84
침소정에 쓴다 題枕蘇亭 85
영천 조양각 판상 시운에 따라 삼가 짓다
永川朝陽閣謹次板上韻 86
밀양 영남루 판상 시운에 따라서 密陽嶺南樓次板上韻 86
경수당에 쓴다 題慶壽堂 87
춘고 금공 회갑연 시운에 따라 삼가 짓다
謹次春皐琴公?席韻 88
일암 금석찬 공의 비자 운에 따라 삼가 짓다
謹次一庵琴公錫瓚非字韻 88
또 又 89
만사 신언구 공의 ‘경성으로 이주하며’ 운에 따라 나중에 짓다
追次萬思申公彦?移住京城韻 89
신철순 어른 회갑 잔치 운에 따라 삼가 짓다
謹次申丈喆淳?席韻 90
여산 이호영 공 유거 운에 따라 삼가 짓다
謹次與山李公鎬永幽居韻 90
조령에서 돌을 제목으로 鳥嶺題石 91
서정기 西征記 91
박람회 가는 길에 옹천역에서 차를 기다리며
往博覽會道中留瓮泉驛待車 116
단양을 지나며 過丹陽 116
치악산에 올라 登雉岳山 117
용문산을 지나며 過龍門山 117
경복궁 뜰에 들어가 入景福宮庭 117
박람회장을 보며 觀博覽會場 118
종묘에 들어가 감회에 젖어 入宗廟有感 118
창덕궁을 관람하고 돈화문으로 물러나 앉아
觀昌德宮退坐敦化門 119
비원에 들어가서 감회에 젖어 入?苑有感 119
창경원을 보고 홍화문을 향하여 觀昌慶苑向弘化門 120
덕수궁 탑 앞에 앉아 坐德壽宮塔前 121
남산에 올라 登南山 121
서울에서 영월을 향하며 품은 뜻을 보이다 自京向越中示懷 122
청령포를 바라보며 望靑?浦 122
자규루에 올라 登子?樓 123
낙화암에 앉아 坐落花岩 123
금강정에 올라 登錦江亭 123
장릉에 들어가 배견루에 앉아서 入莊陵坐拜鵑樓 124
보덕사를 방문하다 訪報德寺 124
금몽암에 올라 上禁夢庵 125
영주역에 돌아와 還到榮州驛 125
여러 사문의 금평지회 상 운에 따라 삼가 짓다
謹次諸斯文金坪池會賞韻 126
김영기 선산 수갈후 추감 운에 따라서, 병소서
次金永基先山?石後追感韻 幷小敍 126
일양 권평 회갑 운에 따라서 次權逸陽坪?席韻 128
이성호 군일, 변우룡 치운, 김중환 명여, 김학기 군민,
명호 아집 운에 따라서
次李君一成鎬邊致雲雨龍金明汝重煥金君敏學基明湖雅集韻 129
권정선 희암지 감상 운에 따라 삼가 짓다
謹次權正善希庵誌感韻 130
권숙 공숙의 ‘추석 밤에 앉아’ 운에 따라서
次權孔肅?秋夕夜坐韻 131
중양절에 권 공숙의 국화 감상 운에 따라서
重陽次權孔肅賞菊韻 131
석천이우회 자리에서 두루마리 중의 운에 따라서
石泉以友會席上次軸中韻 132
정미(1967) 7월 기망 도암정에서 열린 이우회 잔치 모임에서
丁未七月旣望陶巖亭以友會宴集 133
현전 이진국의 효동 이거 운에 따라서 次李見田鎭國孝洞移居韻 133
태백산 기행 太白山記行 134
태백산 망경대 단군제 운에 따라서 次太白山望鏡臺檀君祭韻 140
이우회지 창간시 운에 따라서 次以友會誌創刊時韻 140
초은 이병규 어른 양수재 운에 따라서
次李樵隱丈炳奎養壽齋韻 141
무신(1968) 단양에 홀로 석천정에 올라
戊申端陽獨登石泉亭 142
서정호 조부 모촌정 운에 따라서 次徐庭鎬王大人慕村亭韻 142
공경히 관창폭포 운에 따라서 敬次觀漲瀑?韻 143
봉암 회고 - 청도 운문 鳳岩懷古 - 淸道雲門 144
권헌조의 ‘고향에 돌아와’ 운에 따라서, 병소서
次權憲祖還故韻 幷小序 145
국화 菊花 148
죽오 이병덕 공 만사 輓竹塢李公秉悳 148
학산 금용하 공 만사 輓鶴山琴公鏞夏 150
안호묵 어른 만사 輓安浩默丈 150
석오 권병섭 공 만사 輓石塢權公秉燮 151
해창 송기식 공 만사 輓海窓宋公基植 153
취산 금세락 공 만사 輓醉山琴公世洛 154
국은 이원종 공 만사 輓菊隱李公源宗 155
고암 김세락 공 만사 輓古巖金公世洛 156
겸재 권상형 공 만사 輓謙齋權公相瀅 157
이용진 공 만사 輓李公容進 157
일암 금공 만사 輓一庵琴公 159
채산 권상규 공 만사 輓蔡山權公相圭 163
대관 김회진 공 만사 輓大觀金公晦鎭 163
지헌 권동환 공 만사 輓持軒權公東煥 163
권류 우찬 만사 輓權右瓚? 병오丙午(1966) 165
박영임 세중 만사 輓朴世仲永任 165
금주연 광일 만사 輓琴光一珠淵 166
김극원 어른 만사 輓金丈克源 168
이고 이동흠 공 만사 輓二顧李公棟欽 169
현사 김응환 공 만사 輓玄沙金公應煥 170
수촌 김승학 공 만사 輓水村金公承學 172
이근용 공 만사 輓李公根容 172
금용달 공 만사 輓琴公鏞達 174
청계 이동식 화보 공 만사 輓聽溪李公和甫東軾 174
탄고 권익수 공 만사 輓坦皐權公翊銖 175
괴촌 금서연 공 만사 輓槐村琴公瑞淵 176
서書
청산 권상익 공에게 올 上權公相翊 178
이 연민에게 드림 與李淵民 179
성헌 이용호 척숙께 올림 上省軒李戚叔用鎬 180
황병욱에게 답함 答黃炳昱 181
산암 이지연 공에게 답함 答山庵李公智淵 182
시산 류공에게 올림 上時山柳公 183
회신을 덧붙인다 - 류동준 附答書 柳東濬 185
해창 송공에게 드림 與海窓宋公 185
시산 류공에게 올림 上時山柳公 187
회신을 덧붙인다 - 류동준 附答書 柳東濬 188
권2
친척 형 금 계문에게 드림 與琴戚兄繼文 189
정산 김동진 공에게 올림 上貞山金公東鎭 190
이철화를 위로함 慰李轍和 191
이 연민에게 드림 신사(1941) 與李淵民 辛巳 192
족형 주보에게 드림 與族兄周甫 193
송병선에게 드림 與宋炳? 194
애간 이화성 공에게 올림 上愛??李公和聖 195
회신을 덧붙인다 이화성 附答書 李和聖 196
안승철 어른에게 드림 與安丈承喆 198
명재 곽우순에게 드림 與郭明齋宇純 199
이동건에게 드림 정해(1947) 與李東建 丁亥 201
금 장인어른에게 올림 上琴岳翁 202
국은 이원종 공에게 올림 上菊隱李公源宗 204
금 악장에게 올림 上琴岳丈 205
받은 편지를 붙인다, 소정蘇亭 시기侍?에 공경히 답하다, 이중균
附來書, 蘇亭侍?回敬 李中均 206
또, 이중균 又 李中均, 207
또, 금동열 又 琴東烈 208
김철희 광보에게 드림 與金光甫喆熙 210
이병원에게 답함 答李炳元 210
공산 송준필 공에게 올림 上恭山宋公浚弼書 212
남중흠에게 답함 答南重欽 214
홍성원 원일에게 드림 與洪元一性源 215
대동보소 여러 종친께 드림 與大同譜所僉宗 216
소하 권영기 공에게 올림 上少霞權公寧機 217
권오기에게 드림 눌곡 與權五箕 訥谷 218
권성근 신옥에게 드림 與權信玉性根 220
강신구 낙문에게 드림 與姜洛文信龜 221
강신혁 남중에게 드림 與姜南仲信赫 222
소하 권영기 공에게 올림 上小霞權公寧機 223
권혁생에게 드림 與權赫生 224
권오기에게 드림 與權五箕 225
이원정 어른에게 드림 與李丈源定 226
이동식 화보 어른에게 드림 與李和甫東軾丈 228
이종흠 창길 어른에게 드림 與李昌吉棕欽丈 229
류하영 어른에게 드림 與柳夏榮丈 230
김문희 언집 어른에게 드림 與金彦執文熙丈 231
이 화보 어른에게 드림 與李和甫丈 232
전우창 어른에게 드림 與全遇昌丈 234
봉화군지 발간 시 군내 통문 奉化郡誌發刊時通郡內文 235
이범교 공에게 드림 병오(1966) 與李公範敎 丙午 237
이정락 주경에게 드림 與李周京鼎洛 239
전영찬 명국에게 답함 答全鳴國永粲 239
금철수 성안에게 드림 與琴聖顔哲洙 241
이용구 시백에게 드림 與李施伯龍九 242
금철수 성안에게 답함 答琴聖顔哲洙 244
박창석에게 드림 與朴昌錫 246
이근우 어른에게 드림 與李丈根宇 247
생질 윤도영에게 답함 答尹甥道永 249
이유춘 어른에게 드림 與李裕春丈 249
이 시백에게 드림 與李施伯 251
김철희 광보에게 드림 與金光甫喆熙 253
권숙 공숙에게 답함 答權孔肅? 254
류세택에게 드림 與柳公世澤 256
강신혁 남중에게 답함 答姜南仲信赫 259
연민 이가원에게 답함 答李淵民家源 260
권오인에게 드림 與權五寅 261
이진재 성언에게 드림 與李省彦震宰 262
제문祭文
동전 이중균 공에게 드리는 제문 祭東田李公中均文 266
외고 임에게 드리는 제문 祭外姑林氏文 갑술甲戌(1934) 267
청산 권공에게 드리는 제문 祭晴山權公文 269
효암 이중철 공에게 드리는 제문 祭曉庵李公中轍文 271
면산 유공에게 드리는 제문 祭麵山柳公文 274
이기호 공에게 드리는 제문,
경진(1940)년에 아버님을 대신하여 짓다
祭李公箕鎬文 庚辰 代家大人作 277
이원충 공에게 드리는 제문 祭李公源忠文 279
이원숙에게 드리는 제문 祭李源淑文 281
애간 이공에게 드리는 제문 祭愛??李公文 287
오산 김제면 공에게 드리는 제문 祭梧山金公濟冕文 290
금 악장에게 드리는 제문 祭琴岳丈文 292
족조 송은 도성 공에게 드리는 제문 祭族祖松隱公道成文 295
성헌 이공에게 드리는 제문 祭省軒李公文 297
자포 금경규 공에게 드리는 제문 祭紫圃琴公絅圭文 299
침하 이희택 공에게 드리는 제문 祭枕霞李公羲宅文 301
이경연 공에게 드리는 제문 祭李公鏡淵文 303
권3
정태안 공에게 드리는 제문 祭鄭公泰安文 305
고종姑從 형님 이원욱에게 드리는 제문 祭李表兄源彧文 307
국은 이공에게 드리는 제문 祭菊隱李公文 312
이용진 공에게 드리는 제문 祭李公容進文 313
채산 권공에게 드리는 제문 祭蔡山權公文 316
이필호 공에게 드리는 제문 祭李公必鎬文 320
매부 류영식에게 드리는 제문 祭柳妹?榮植文 322
사형 이석연에게 드리는 제문 祭李査兄錫淵文 331
매부 이용희에게 드리는 제문 祭李妹?容熙文 333
지헌 권동환 공에게 드리는 제문 祭持軒權公東煥文 336
족숙 양상에게 드리는 제문 祭族叔養相文 339
족장 상택에게 드리는 제문 祭族丈相澤文 342
금 광일에게 드리는 제문 祭琴光一文 346
청계 이 화보 어른에게 드리는 제문 祭聽溪李和甫丈 350
생질 박창석에게 드리는 제문 祭朴表姪昌錫文 354
축문祝文
용두산에 기우 제문, 기묘(1939),
영은암 왼쪽 산기슭에 단이 있다.
祭龍頭山祈雨文 己卯 坍在靈隱庵左麓 357
통정대부 행자인군수 해사 김영숙 공 묘도에 비석을 세울 때
고유문, 본손을 대신하여 지음
通政大夫 行慈仁郡守 海史金公榮淑 墓道竪碣時告由文 代本孫作 359
잡저雜著
두 아들이 쓴 영남누정시집 뒤에 쓰다
書二子所書嶺南樓亭詩集後 362
권4
서序
금씨종친계첩서 琴氏宗親契帖序 364
천성이우회첩서 川城以友會帖序 366
돈목계첩서 敦睦?帖序 369
기記
자은서재기 紫隱書齋記 371
늑정유지기 ?亭遺址記 373
송오기 松塢記 375
발跋
태자산반석속계첩발 太紫山盤石續?帖跋 380
자산창수록발, 창수록 본에 의거한다.
紫山唱酬錄跋 此依書唱酬錄本 382
추모록발 追慕錄跋 384
문성암집발 文誠菴集跋 387
안동권씨중윤공파세보발 安東權氏中允公派世譜跋 389
묘지명墓誌銘
죽은 아내 유인 영천이씨46) 묘지명 병서
故室孺人永川李氏墓誌銘 幷序 392
권4
묘갈명墓碣銘
해암 이공 묘갈명 병서 海菴李公墓碣銘 幷序 396
유사遺事
선고처사부군유사 先考處士府君遺事 401
부록附錄
- 유사遺事 | 권호순權鎬舜 411
- 행장行狀 | 정형鄭瀅 416
- 묘갈명墓碣銘 | 권정선權正善 423
- 만사, 족숙 정선 성노 輓詞 族叔正善性老 427
- 또, 황필락 기원 又 黃必樂期遠 428
- 또, 족말 상식 又 族末相軾 429
- 또, 이일화 又 李馹和 430
- 또, 족질 문강 준 又 族姪埈雲岡 431
- 또, 이유화 자범 又 李裕和子範 432
- 또, 치당 정우창 又 全遇昌致堂 432
- 또, 족질 숙 공숙 又 族姪?孔肅 433
- 또, 금철수 성안 又 琴哲洙聖顔 434
- 또, 족말 남고 일섭 又 族末一燮楠皐 435
- 또, 이윤덕 계증 又 李潤悳繼曾 435
- 또, 김홍기 又 金弘基 436
- 또, 강대균 又 姜大均 437
- 또, 남중흠 又 南重欽 438
- 또, 이병원 又 李炳元 438
- 또, 남규호 又 南圭鎬 439
- 제문, 진성 이동국 祭文 眞城李東國 439
- 또, 봉성 금석종 又 鳳城琴錫鍾 442
- 또, 진성 이용유 又 眞城李容? 444
- 또, 표종 진성 이원경 又 表從眞城李源慶 447
- 또, 표종 함양 박태기 又 表從咸陽朴兌基 448
- 또, 영양 이희길 又 永陽李羲吉 453
- 또, 사종질 영우 又 四從姪永佑 454
- 또, 진성 이동언 又 眞城李東彦 455
- 또, 봉성 금옥연 又 鳳城琴玉淵 457
- 또, 연일 정호발 又 延日鄭鎬? 459
- 또, 생질 파평 윤도영 又 甥姪坡平尹道永 460
- 또, 천성아우회 又 川城以友會 462
- 또, 진성 이종원 又 眞城李鍾遠 467
- 또, 족질 준 又 族姪埈 469
- 또, 족시생 태윤 又 族侍生泰允 471
- 또, 생질 진성 이재영 又 甥姪眞城李載榮 475
- 수갈고유문竪碣告由文 | 권헌조權憲祖 476
- 경와기敬窩記 | 김철희金喆熙 479
발跋 | 금옥연琴玉淵 481
후서後敍 | 권윤식權潤植 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