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은 정말 다른 금융 상품에 비해서 더 어려울까?
채권이란 금융 상품은 어떻게 보면 참 역설적인 상품이다.
거대한 규모의 채권 시장은, 극소수의 참여자에 의해,
상당히 폐쇄적으로 돌아가고 있는 “그들만의 시장”이다.
외화채권 입문서! ‘그들만의 시장’
그들만의 시장 - 외화채권 입문에서는 복잡한 수학 공식이나 계산이 아닌, 개념적인 측면에서 채권 시장에 대한 이야기를 할 것이다. 입문편이니만큼, 복잡한 구조화 상품이나 미국 달러화가 아닌 기타 채권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언급만 할 것이며, 이론적인 보강을 원하는 독자들은 여러 교과서에서 그 내용을 보완하여야 할 것이다.
이 책은 외화채권 딜러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훌륭한 입문서로서의 역할과, 학계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실제 실무 관련 정보제공을 통해 채권시장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게 해 줄 수 있는 좋은 교재가 될 것이다.
- 김남종, 한국금융연구원 부연구위원 / 경영학 박사
자신의 일에 관련하여 ‘훌륭한 지침서’를 만나기는 어렵고, 그것도 전문 분야라면 더욱 어렵다. 외화 채권이라는 흔하지 않은 내용의 실무를 손쉽게 설명해주는 책이 없었던 이유는 해당 지식을 일반인이 접근하기 쉽게 설명하는 것 자체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들만의 시장 - 외화채권 입문”은 지금까지의 금융서적들과 분명히 다르고, 접근하기 쉬운 책이다.
이 책에서는 기본적인 채권의 이해 뿐아니라 소소한 해외채권들의 특성까지도 설명이 되어 있어 지금까지의 책과 확실히 차별화되어 있고, 해외채권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얻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항상 책상에 비치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마다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훌륭한 지침서’라고 할 수 있다.
- 이찬욱, 노무라금융투자주식회사 부문장
‘그들만의 시장’, 채권 시장을 부르는 적절한 비유이다. 하지만 채권시장은 비단 우리 일상과 동떨어진 것만은 아니라고도 할 수 있다. 채권의 기초는 예금과 대출이고 일상생활과 은연중에 관여되는 부분들이 많다. 훌륭한 시장참여자이자 상사이자 스승이었던 저자의 10여 년에 걸친 경험의 산물인 ‘그들만의 시장 - 외화채권 입문’ 출간을 진심으로 축하하며 외화채권 시장에 관심 있는 모든 독자들에게 이론적으로 그리고 실무적으로 큰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
- 김대호, 주식전망 통계플랫폼 코스폴 대표 / 전 바클레이즈 증권 AVP
01 그들만의 시장
02 채권의 기초
- 채권은 어렵다?
- 채권의 기초 개념
- 채권의 수익률 쿠폰 이자율
[참고] Dirty Price와 Clean Price
- 듀레이션(Duration)의 개념
- 채권의 볼록성(Convexity)
- 채권의 보유 이익(Carry & Roll Down)
[참고] 채권쟁이들의 필수 시스템, 블룸버그
03 미국 국채시장
- 미국 국채(US Treasury)는?
- 미국 국채의 종류
참고= 미국 국채 시장의 32진법
- Bloomberg PX1 화면
- 미국 국채 금리 커브의 형태
참고=연방 기금 금리(Federal Funds Rate)란?
참고= 연방 준비 제도(Federal Reserve System)와 연방 공개 시장 위원회 (FOMC)
- 입찰과 WI(When Issued Market), 결제
- 레포(REPO) 시장
- 숏 커버링(Short Covering)
참고=미국 비농업 부문 취업 종사자(Nonfarm Payroll, NFP)
참고= 미국의 신규 실업 수당 청구 건수(Initial Jobless Claims)와 실업 보험 연속 수급 신청자 수(Continuing Claims)
참고= 경제 지표의 진화, 중국 위성 제조업 지수 (SMI, Satellite Manufacturing Index)
04 비국채 시장 (스프레드 프로덕트 [Spread Product])
- 스프레드 프로덕트(Spread Product)란?
- 스프레드(Spread)의 구성
참고= LIBOR(London Interbank Offered Rate)란?
- 스프레드 프로덕트(Spread Product)의 종류
참고=브래디 본드(Brady Bond)
- 발행 시장(Primary Market)
참고=신규 발행 채권의 할당
- 발행 시장(Primary Market)에서의 금리 위험의 헤지
- Reverse Inquiry와 MTN(Medium Term Note)
- 채권의 형태(Format of Securities)
- 신용 등급
- 유통 시장의 구조
참고=채권 인덱스
- 시장 조성자(Market Makers)
- 트레이더의 수익 창출과 헤지(Hedge)
- 스프레드 프로덕트의 호가
- 스프레드 프로덕트의 가치 판단
05 스왑의 이해
- 스왑이란?
- 이자율 스왑(금리 스왑, Interest Rate Swap)
- 자산 스왑(Asset Swap)
참고= [심화] 쿠폰 스왑(Coupon Swap)과 파-파 스왑(Par-Par Swap)
- 신용 부도 스왑(CDS, Credit Default Swap)
참고=신용 사건이 예상되는 기업의 신용 부도 스왑
- 베이시스 스왑(Basis Swap)
- 토탈 리턴 스왑(Total Return Swap, TRS)
- 인플레이션 스왑(Ination Sw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