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호 작가와 김태식 연합뉴스 기자가
시집으로 엮어낸
아름다운 우리 사찰과 문화유산
“화엄사에 가고 싶다”
해직 언론인 출신 연합뉴스 김태식 기자가 틈틈이 찍은 문화재 사진에 이재호 작가의 글이 더해져 한권의 시집으로 묶여 나왔다.
시집 ‘화엄사에 가고 싶다’는 국보 76호인 화엄사 각황전을 비롯해 전국의 사찰과 유수의 문화재를 주제로 하는 다소 평범하지 않은 내용의 시집이다.
해직 언론인 출신 연합뉴스 김태식 기자가 틈틈이 찍은 문화재 사진에 이재호 작가의 글이 더해져 한권의 시집으로 묶여 나왔다.
시집 ‘화엄사에 가고 싶다’는 국보 76호인 화엄사 각황전을 비롯해 전국의 사찰과 유수의 문화재를 주제로 하는 다소 평범하지 않은 내용의 시집이다. 또한 시집으로서는 드물게 347페이지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도 눈길을 끈다.
두툼한 책의 두께와 절간이라는 특별한 배경 때문에 언뜻 딱딱해 보일 것이라는 선입견을 가질 수 있지만 시집에는 문화재뿐만 아니라 사랑도 담겨 있고, 이별도 담겨 있어 읽는 독자들의 입맛에 부드러움을 더한다.
여기에 각 사찰이 간직하고 있는 고유한 분위기와 풍광을 잘 담아낸 김태식 기자의 사진은 마치 직접 그 장소에 가서 시를 읽는 듯한 생생한 현장감을 더해준다.
이재호 작가는 칠팔 년간 전국에 산재한 사찰의 문화재 답사를 다니면서 절간 마루에 앉아서 혹은 한여름 나무 아래 매미 소리를 들으면서 스케치한 글을 모아 시집 ‘화엄사에 가고 싶다’를 엮었다고 한다.
시 한편을 통해 바라보는 우리 문화재의 아름다움과 시 한편을 채색하면서 느꼈던 사랑, 그리움, 또한 어울림, 계절의 아름다운 빛깔을 책 한권에 담아내 독자들이 문화재를 친숙하게 받아들이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는 생각에서였다.
‘화엄사’로 대변되는 우리나라 사찰 문화재는 관람료 문제부터 시작해서 종교적 이해타산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얽혀 국민들과 괴리감이 적지 않다.
오랫동안 문화재 보존운동을 펼쳐온 이재호 작가는 이 시집을 통해 문화재를 종교라는 틀에 가두지 말고 우리 민족의 숨결을 간직한 ‘아름다움’ 그 자체로 이해하자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김태식 기자와 이재호 작가는 “문화재는 아름다움 그 이상 이하도 아니다. 문화재가 우리들의 삶 속에 한편의 시이기를 바란다”고 시집을 출간하는 소감을 전했다.
<추천의 글>
이재호의 시는 시가 아니다. 말 그대로 일상이고 삶의 행적이다. 시라는 마땅한 형식이 있지만 그것을 비켜나가는 것이 그의 장점이다. 오랫동안 글을 써온 그가 시집을 엮는다는 것은, 그의 글을 접하는 것만으로도 아름다운 쉼표가 될 것 같다.
(덕문스님, 화엄사주지스님)
언젠가 엉뚱한 글 한편을 나에게 보냈다. 뜬금없이 말이다. 몇 번을 읽어보았는데, 감맛처럼 달았다. 그래서 그가 쓴 글을 몇 차례 읽어보았다. 글을 참 맛깔나게 쓰는 작가라는 것을 알았다. 그가 시집을 내다니, 또 하나 재미있는 '쉼'이 이 글 속에 가득할 것 같다.
(원경스님, 마곡사 주지스님)
소설가가 무슨 시를 써? 그랬다. 옳지 않은 선입견의 부끄러움. 사랑, 오랫동안 잊고 살았던 고귀한 이름. 늦가을 잘 익은 과일처럼 작가는 농익고 있었다.
(곽진수, 깨비 문화유산답사회 회장)
1. 절간 그리고 쉼표를 이야기하다
2. 그리움, 그 진함을 색칠하다
3. 가을, 그 뒷모습을 따라가다
4. 마음에 부서지지 않는 별빛을 향하다
5. 겨울의 끝없는 발자국을 따라가다
6. 사람 그리고 여행을 만져보다
7. 봄, 꽃으로 입술에 물들이다
8. 슬픔의 아우성으로 노래하다
9. 사랑에게 말을 건네다
10. 사랑, 그 오로지 한사람을 위한 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