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출간도서

목록으로

해탈解脫을 꿈꾸는 시詩, 한시漢詩

출간일
2020-07-17
저자
정웅
분야
문학
판형
국판(148 X 210)
페이지
212
ISBN
979-11-6552-286-5
종이책 정가
12,000원
전자책 정가
8,000원
저자소개

정웅

본명은 정병식(鄭秉植)이며 아호(雅號)는 우천(隅川)으로, 강원 횡성에서 출생하였다. 청주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였으며 동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1994)를 받았다. 육군대위로 전역하였다(갑종 209기). 2011년 <월간문학세계> 신인상으로 등단하였으며 대학 강단(2014, 강동대학교 초빙교수) 이후로 자유기고 및 창작활동을 하고 있다. 심신단련으로 검도(대한검도5단사범, 서울 노원검도관)를 하고 있다. 시집으로 『춘하추동-漢詩와 우리詩의 만남』 등이 있으며 ‘전국한시백일장’ 수상을 수회하였다. 한국문인협회 및 한국한시협회 회원이다.

Email: jbs5970@hanmail.net
Blog: http://blog.daum.net/59705347

정웅 시인은 ‘시는 일상의 해탈이며, 시인은 해탈을 꿈꾼다’고 하였다. 정웅 시인의 두 번째 시집 『해탈解脫을 꿈꾸는 시詩, 한시漢詩』는 漢詩[近體詩]도 곁들여 특유의 절제된 맛을 느낄 수 있다. 일상의 감성들을 해탈하듯 담담하게 펼치고 있다.


정웅 시인의 두 번째 시집 『해탈解脫을 꿈꾸는 시詩, 한시漢詩』가 지식과감성#에서 출간되었다. 우리의 詩와 더불어 마치 漢譯하듯이 絶句[近體詩]를 곳곳에 곁들여 낯설고 어렵다고 여기는 漢詩의 세계에 쉽고 친근하게 접근하여 현대 시와 하모니를 이룬다. 특히 작가 노트[***] 형식을 빌어 본문 하단에 ‘漢詩’와 ‘덧글’을 구성하여 시 감상에 공명(共鳴)을 더함이 돋보인다. 


머리말[序文]



1부 바람의 추억


바람의 추억① - 순이

바람의 추억② - 보리밭

바람의 추억③ - 산뽕나무

바람의 추억④ - 장마

바람의 추억⑤ - 바람

입춘(立春)/ 立春 

봄은 어디쯤?/ 問春何處來 

봄새/ 春間 

春心이/ 春心 

초경(初經)/ 春雨 

기억 저편 

첫사랑 

코스모스 

꽃봉오리는 

편련통(片戀痛)/ 片戀痛 

춘추(春秋)/ 得意 

춘천감상 

찔레[蒺梨]야/ 憶蒺梨花 

낡은 의자 

실낙원(失樂園)/ 秋夜所懷 

정(情)이란/ 君不見4 

망벽(忘癖)/ 詩魔 

몸살[身殺]/ 傷寒 

배추낭자/ 白菜娘子 

부음(訃音)/ 訃音 

망각(忘却)의 강/ 朋友渡河 

별 하나로 

그 여자 

억새/ 紫芒草 

커피감상 



2부 그대 카메라 앞에서


둥근달 

그대 카메라 앞에서① - 설렘 

그대 카메라 앞에서② - 늑대 마음 

그대 카메라 앞에서③ - 흔들림 

그대 카메라 앞에서④ - 그대 바람 

그대 카메라 앞에서⑤ - 그리움보살 

문향(聞香) 

득도(得道)/ 得道 

대보름/ 元宵夜母主 

성황당(城隍堂)/ 慕情 

보름밤[十五夜]/ 八月十五夜2 

둥근달만 같으라고 

섣달 낮달/ 自畵像 

타임머신/ 誤打電 

여보, 배고파/ 惠化洞大學路 

석류(石榴)/ 石榴 

천생 나팔꽃/ 牽牛花 

동백꽃/ 冬栢花 

설중매(雪中梅)/ 雪中梅 

복수초(福壽草)/ 福壽草 

수선화(水仙花)/ 水仙花 

봉숭아/ 鳳仙花 

박꽃/ 復記 

호박꽃/ 南瓜花 

단풍(丹楓)/ 丹楓 

카네이션 

항아리보살/ 醬甕菩薩 

부부는 무슨 맛?/ 夫婦間 

시바타 도요(柴田トヨ) 님! 

일상(日常) 



3부 젊은 날의 노트


젊은 날의 노트① - 그리움 하나 

젊은 날의 노트② - 수안보 

젊은 날의 노트③ - 사창리 

젊은 날의 노트④ - 오동도 

山은/ 山中3 

밥상머리 소회 

심술 

코골이 증후군(症候群)/ 鼾息症候群 

병정놀이 

어떤 소회(所懷) 

늙은 소대장 

비 오는 날[雨情]/ 雨日 

빗소리 

홍시/ 紅柿 

세월낚시/ 閑中2 

낙엽일생 

오수(午睡)/ 午睡 

구음(狗吟) 

맘대로 하소서! 

천리향(千里香)/ 聞銀木犀香 

땅거미/ 薄暮 

불면증/ 不眠症 

독숙(獨宿)/ 獨宿 

핑계 있는 날/ 理由 

포구(浦口)를 그리며/ 浦口 

파도(波濤)야/ 波濤也 

운길산(雲吉山)에서/ 雲吉山 



4부 칼이 짧다고만 할 것인가?


검도심경(劍道心經) 

새싹[初心] 

한칼[一刀]/ 一刀 

기품(氣品)이란 

검법(劍法) 

길/ 自顧 

칼이 짧다고만 할 것인가?/ 齊心 

너희가 검도를 아느뇨? 

서슬이 퍼렇지만은 않습니다 

방일감(放逸感) 

나를 버리는 거리 

천적(天敵) 

난, 나를 믿는다 

명상의례(冥想儀禮) 

큰맘 먹지 말고 칼을 내라/ 眞劍 

홍시(紅柿)야/ 紅柿也 

나이를 더할수록 

최고의 호신술(護身術)/ 思無邪劍 

틈[隙], 칼의 틈 

검도공효(劍道功效) 

맘[心] 



5부 페르소나


푸른숲도서관 

그대 마음 내 마음 

인간세(人間世)/ 世間音 

곰탱이[牛菩薩]/ 口蹄疫 

거짓말 

애기엄마

체면(體面) 

이력서/ 履歷書 

닭/ 對鷄 

흙! 다시 만져보자/ 漫吟2 

민주(民主)야 

‘지피지기백전불태(知彼知己百戰不殆)’는 과학이다 

조껍데기 술로/ 南漢山城槐木 

너무 푸르러 슬픈 유월이여!/ 六月漢灘江 

화해(和解) 

잡초(雜草)/ 亡草 

거미의 꿈/ 蜘蛛夢 

오월의 날 

삶은 계란? 

복(伏)날 영계에게/ 英鷄湯 

가족모임/ 村家 

설날에/ 愼日 

동지추억(冬至追憶)/ 冬至 

동짓달 밤에/ 至月夜 

섣달 그믐날 밤/ 除夕 

힘들지요? 

미망(迷妄)/ 一愁 

일면불월면불(日面佛月面佛)/ 生佛 

점심계(契) 

페르소나/ 假面 



6부 隅川漢詩選


夜來苦寒: 밤새 모질게 추워도 

栗花: 밤꽃 

秋聲: 가을소리 

立冬: 입동 

眼目: 안목 

夏至追憶: 하지추억 

逢變: 봉변 

早梅: 때 이른 매화 

向日庵: 향일암에서 

鏡浦臺 三首: 경포대에서 

忠州湖畔斷想: 충주호반단상 

乾鳳寺: 금강산 건봉사에서 

奉先寺3: 봉선사에서 

祈願: 기원 

江頭: 강가에서 

朋友渡河2: 붕우도하 

春日所懷: 춘일소회 

麗水李舜臣廣場: 여수 이순신광장에서 

㖯㖯兒: 똥똥아 

蘭皐生涯有感: 난고(김삿갓)생애유감 

橘林秋色: 귤림추색 

닫기

출판상담문의

오전 9시 ~ 오후 6시

070-4651-3730

세상과 책을 잇는
마중물같은 출판사
지식과감성#

고객센터 전화상담

070-4651-3730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시간 : 11시 25분 ~ 1시)

1:1 온라인 상담

지식과감성# 카카오플러스 친구 추가

메일 또는 카카오톡으로 상담 신청 가능

원고 및 파일전송

웹하드 접속하기
아이디 : ksbookup 비밀번호 : ks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