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안에서 말씀이 흘러나오니 어찌 향기롭지 않겠는가!”
‘문(門)’은 곧 《동부수필》이요, 그곳에서 흘러나오는 ‘향기(言)’는 선생님들의 주옥같은 작품이다. 《동부수필》 제1집을 세상에 선보인 지도 어언 네 해가 지나고, 한마음으로 꿈꾸어 왔던 《동부수필》 제2집이 드디어 출간되었다. 오랜만에 내는 작품집이니 귀한 대접은 아니더라도, 세상과 말을 걸고 싶은 소망쯤은 누군가가 알아채 주길 기대해 본다.
우리는 그 힘으로 또 수필의 태산준령을 넘을 것이다.
편지 한 장, 일기 한 줄 써보지 않은 삶은 생각만 해도 쓸쓸하다. 내가 내게 편지를 쓰듯, 세상을 향해 고해 성사를 하듯 한 편의 수필을 쓴다는 것이 생각보다 버겁다. 그러나 팍팍한 세상을 사는 데 위로와 즐거움을 주는 방편인 것을 우리는 벌써 터득했다. 계절이 지나갈 때마다, 나는 이렇게 살 사람이 아니라고 말하고 싶을 때마다 수필의 소재를 찾아 헤매는 것도, 우주공사에 참여하는 일 같아 설렘이 앞선다. 글은 말 밖에 있으므로 말의 울타리를 넘는 것도 장애물 경기처럼 두렵고 떨린다.
[책머리에] 중에서
책머리에
임병식
• 정읍 감상(井邑 感想)
• 그리움이 머문 자리
• 방패연
• 물방앗간 다녀오던 날
• 그리워지는 풍류
• 월석(月石) 감상
• 파로호(破虜湖)의 추억
엄정숙
• 리모델링
• 태풍의 계절
• 장날 소회
• 진자 언니
• 집으로 가는 길
• 외발 갈매기
• 소소한 일상
곽경자
• 내 고향 금오도
• 스승의 날이 되면
• 어머니의 김치찌개
• 해양 공원을 거닐면서
• 잊을 수 없는 밥 한 그릇
• 손
• 노세 노세 젊어서 노세
송민석
• 휴대전화에 코를 박고 사는 사회
• 다양성이 존중받는 성숙한 사회
• 탐욕이라는 병
• 비우면서 사는 인생
• 노년을 잘 살아야 성공한 인생이다
• 경술국치의 아픈 기억
• 인성 교육의 요람은 가정이다
윤문칠
• “70년의 침묵!” 여·순 사건
• 한국의 범선, 코리아나호가 출항한다
• 여수의 미래, 시민이 주인이다
• 돌산청사는 여수 시민의 재산이다
• 다도해 주민들 뿔났다
• 여수엔 마도로스 거리가 있다
• 힘센 갯장어! 여수의 음식이다
이선덕
• 동백 열차를 타다
• 내 마음 네 마음
• 병실 풍경
• 일몰
• 나의 눈물샘
• 한밤중의 외출
• 거리에서
이희순
• 석수장이가 사는 마을
• 꿀벌 이야기
• 꽈배기의 변
• 대낮에 별 보기
• 섣달그믐 밤의 아부
• 모내기 1974
• 멸구 푸던 시절
양달막
• 수의
• 이런 친구
• 지팡이
• 그들의 우정
• 낡은 것들에의 애정
• 백운산은 말이 없었다
• 초가 단상
박주희
• 내 안의 하프를 타는 남자
• 敬
• 찔레꽃 피는 계절에
• 잘 늙었지?
• 하얀색 구름사전
• 안개 스카프
• 푸른 달
이 화
• 군불을 지피며
• 백합화를 가꾸며
• 옛집 앞을 지나며
• 이 밤에 나는 꽃차를 마신다
• 좀벌레를 쫓아내고
임경화
• 지금 내 슬픔의 빛깔은 보랏빛이다
• 서러움에서 웃음으로
• 백일홍나무를 사랑하는 이유
회원 주소록
편집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