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꽃 무리가 해마다 늘어간다.
엄지손톱만 한 반달 모양의 녹 하나하나가 햇빛을 받아 선연한 핏빛을 반사한다. 흙 한 줌 물기 한 방울 없는 곳에서 피는 꽃의 생명은 어디서 오는 걸까? (중략)
아버지가 만든 손톱만 한 반달 모양의 줄칼은 생명을 앗는 칼이 아니다. 꺼져가는 생명 을 살리려는 의사의 메스도 아니다. 나라를 지키라고 왕에게서 하사받은 사인검四寅劍도 아니다. 그것은 가족을 위한 칼이었다.
<줄칼> 중 / 2020년 포항스틸에세이공모전 대상작
진정한 사유는 대상을 관찰하고 의미를 부여할 때 깊어지고 확장된다.
작가는 끊임없이 이런 일을 게을리하지 않아야 한다.
수필 작가로서의 내공은 단일 소재에서 다층적인 이미지와 주제를 갈라 내는 우무로 알 수 있다. 이치운은 섬과 바다로 자연을 말할 뿐만 아니라 인생론과 인문 학적 지식까지 덧붙인다. 가족의 믿음을 사회적 메시지로 확장하는 역량도 사물을 인생 론적으로 철학적으로 해석한 결과로 여겨진다.
수필은 개인의 체험에 머물러 있을 수 없다. 인간의 삶은 늘 사회 현상과 문화에 영향을 받으므로 체험 서사는 존재성을 구현하는 양방향성을 가져야 한다. 이치운 작가의 삶과 문학적 지층은 참으로 넓고 깊다. 소리도에 대한 추억은 문학과 학문에 대한 사유로 발 전하고 그 변용과 해석이 한 권의 수필집에 응축되어 있다. 수필 시학과 심미적 서사를 아우른 작품이 《오늘도, 소리도所里島》라는 뜻이다.
서평 중 / 문학 평론가 박양근 교수
작가의 말
1부 줄칼
줄칼
고래여
바닷물수리
소년과 바다
고대구리 어부
길천리 사람들
투망
멸치의 삶
2부 날치, 다시 날다
등대 탑돌이
섬 집 측간(廁間)
날치, 다시 날다
붉은 비늘
낭만어부
떼창
검은 꽃
챔질
바다 아포리즘
3부 담쟁이넝쿨
만년필
뒤통수
짝퉁 백
반려어(漁)
담쟁이넝쿨
사투리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
불씨
4부 쇠를 몸에 박고 사는 남자
말문
흥(馫)
질문 잘하는 사람
나만의 행복 찾기
쇠를 몸에 박고 사는 남자
기(氣) 싸움
밥심(心)
신문이요!
소리도(所里島)의 감성과 작가적 인식의 조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