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사상적 변화와 박지원의 문학이 갖는 근대성”
“열하일기, 그 문학의 근대성”
삶의 골에서 넓고 밝은 곳을 보고도 한 줄의 글조차 남기지 않는다면 무엇이랴? 연암의 글을 두루 읽고 연암의 생애와 가깝고자 한 시간들이 길었다. 이제 한 마을에 홀로 앉아 시비 있을법한 생각을 파내어 남겨본다. 『熱河日記』를 다시 헤집으면서 써 보고 싶었던 것을 마음 가는 대로 옮겼다.
‘사람들의 앞’에서 먼저 보았으니 먼저 넘어질 수도 있었다. 그리고 일어선 사람은 ‘사람들의 앞에 있었음’만으로 희열할 것이 분명하다. 저 뒤에서 넘어지지 않고 웃으면서 걷는 사람과 어이 견줄까? ‘사람들의 앞’에서 먼저 보고 먼저 넘어지고 먼저 일어서는 사람이고 싶다. 다시 넘어지더라도 늘 먼저 새롭고 싶다.
연암골에서 저들의 세상과 내 세상을 오가던 연암의 모양은 그대로는 아니더라도 ... 영월의 한 귀퉁이에서 ‘일어난 생각’을 남기고 싶었다.
이 책은 10여 년 전 ‘『熱河日記』- 文學的 特性을 中心으로-’라는 박사학위논문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이삭이 모인 글들이며 시간과 공간, 그리고 생각의 경계를 허물어 ‘한 개의 눈과 한 개의 손’으로 남겨보는 것이다.
박지원이 살았던 당시는 봉건사회의 모순, 지배계층의 분열, 계속적인 전란 등으로 인해 통치 질서가 급속도로 와해되었던 시기였다. 공허한 논쟁에 치우친 성리학에 대하여 반성과 비판이 일어나고, 피지배계층의 의식이 변화되고, 경제적 발전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고조되었던 시기였다. 양반 상호 간의 극심한 정치적 분쟁으로 인해 다수의 양반이 몰락하고, 부농층이 양반으로 신분상승을 꾀하는 등 양반중심의 신분질서가 붕괴되어 갔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성리학이 내포한 사유적 요소들을 보다 실용적이고 합리적이며 근대적인 요소로 바꾸어 중세 봉건적인 사회를 근대적인 사회로 변화시키려 노력한 사람이 바로 박지원인 것이다.
- 본문 중에서
Ⅰ 박지원 『열하일기』 근대성 분석
1. 박지원의 인식론과 근대성
가. 인식론
나. 근대성
가) 「양반전」에 나타난 반봉건사상
나) 서민의식의 고취
2. 『열하일기』의 문학적 성격
가. 허생전과 호질을 통한 풍자문학과 표현양식
가) 허생전
나) 호질
다) 「허생전」과 「호질」 비교분석
나. 『열하일기』의 근대성
3. 『열하일기』 속의 조선사회에 대한 시각
가. 이용후생의 필요성 부분
나. 정치사상적 문제
4. 『열하일기』 속의 종교문제
가. 라마교
나. 천주교
5. 『열하일기』 속의 중국인식과 국제정치사상
가. 중국에 대한 다양한 인식
나. 국제정치사상
6. 『열하일기』의 서지적 문제
가. 『열하일기』 구성
나. 집필 의도
가) 정치적 배경
나) 경제적 배경
다) 사회적 배경
라) 문화적 배경
마) 양반론
바) 양인론
사) 열하의 연행과 기록 및 『열하일기』 집필
다. 이본 소개
Ⅱ 박지원의 생애와 사상
1. 박지원의 생애
2. 18세기 조선(동아시아)의 사상변동
가. 조선의 정세와 사상
나. 조선의 양명학적 사상변동
3. 박지원 사상의 형성과정
가. 초·중기의 사상
나. 중국여행을 통한 사상형성
다. 열하일기 집필
라. 박지원의 관직생활과 말년
가) 세상을 경륜하다
나) 원칙 있는 정치
4. 조선 후기 박지원과 정약용의 실학사상 비교
가. 박지원의 실학사상
가) 학문경향
나) 경학사상
다) 역사의식
라) 실용정신과 과학주의사상
나. 정약용의 실학사상
가) 사회사상
나) 정치사상
다) 자연과학사상
Ⅲ 서론
1. 연구의 목적과 연구방법
2. 연구의 성과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