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한반도의 도전과 위협에 대한 대응전략을 모색하고,
동북아 체제형성을 위한 외교안보전략을 발굴하여 통일에 기여!
한반도 통일과 동북아 평화는 국내정치, 남북관계, 주변국 및 글로벌 차원에서 입체적인 외교안보전략을 추진할 때 가능하다.
● 대한민국의 영토주권과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스스로 지켜 나가는 자립적 안보태세 확립, 열린 정치문화 정착, 경제·이념의 양극화 극복 및 역사인식의 분열 해소
● 북한 주민의 삶의 질 제고와 민족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접촉면 확대로 북한 스스로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인권과 법치주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
● 미중·중일 간 협력의 촉진자 역할 수행, 동북아의 재난·사이버 해킹·환경오염 등 초국가적
위협에 공동 대처하기 위한 제도화 주도
● 글로벌 평화증진·빈곤퇴치·인권개선에 적극 참여한다면 한반도 통일의 기반 구축과 동북아신질서가 전개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결론에서>
머리말
서장 : 새로운 안보환경에 대한 전략적 인식
제1부 북한의 도전과 한국의 대응
제1장 북한 위협과 한국의 군사전략
1. 북한의 도발 양상
2. 북한의 대남 비난과 무력시위 의도
3. 국지도발과 전면전 시나리오
4. 한국의 군사전략 방향
제2장 북핵 위협에 대한 포괄적 대응전략
1. 이론적 고찰과 위기관리 사례
2. 북핵 시나리오
3. 조건에 의한 전작권 전환과 군사력 운용
4. 북핵 위협 군사적 대응전략
5. 외교·경제적 대응전략
6. 소결론 및 정책제안
제3장 THAAD 배치 논란과 국가안보
1.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평가
2. 사드 및 탐지레이다 능력
3. 한미연합군 미사일 방어실태
4. 사드를 둘러싼 동향
5. 사드에 관한 국내여론과 군의 대응방향
6. 결론 및 정책 제안
제2부 한반도의 도전과 대응
제1장 한반도의 새로운 전략환경과 한국의 대응전략
1. 동북아 전략환경 변화
2. 주변국 안보전략과 군비증강
3. 한국 안보에 대한 시사점
4. 한국 국방안보정책 발전방향
5. 소결론 및 정책제안
제2장 신뢰프로세스와 동북아평화협력 구상의 선순환 전략
1. 신뢰정치의 비전
2. 신뢰프로세스와 서울프로세스의 상호 역동성
3. 국내정치와 안보·경제의 상호 의존성
4. 박근혜 정부의 통치 평가
5. 박근혜 정부의 외교안보과제
6. 소결론 및 정책제안
제3장 북러 밀착관계와 한반도 함의
1. 러시아의 개입전략과 지역 내 함의: 박종수 중원대 교수
2. 전문가들의 정책진단
3. 소결론과 정책제안
제3부 한반도를 넘어 주변국과 만남
제1장 글로벌 지식정보와 소통의 국제정치학 학회
1. 5,000여 명의 학자들이 참여한 매머드 국제학술회의
2. 지식정보력과 소통의 능력이 국제 영향력 행사의 관건
3. 인류문명의 비전과 소망을 제시하는 석학(碩學)
4. 지역재난구조를 위한 신속대응군 창설
제2장 한중관계 진전·북일관계 변화와 한반도 함의
1. 한중관계 진전 및 북일관계 변화 이슈별 대담
2. 주변국 한반도 전문가들과의 대담
미국 Balbina Hwang Georgetown대 교수
중국 Cheng Xioaho 런민대 교수
일본 Izumi Kazushige 도요다 고문
한국 정경영 동아시아국제전략연구소장
3. 국가별 정책 대안: 홍정표 Miyajaki국제대 교수
제3장 동북아공동체를 지향하는 한·중·일 안보협력
1. 지역협력의 구심력인 한·중·일 3국협력사무국
2. 지역안보협력기구의 역할과 함의
3. 한·중·일 안보전문가 발제
4. 정책제안
제4장 지역과 가치의 융합의 상징 두만강포럼
1. 동북아정상회담의 플랫폼이 될 두만강포럼
2. 북방경제의 허브이자 평화의 메카가 될 두만강
3. 문명발전, 지역네트워크 및 국제협력의 비전
4. 동북아 문화적 정체성
5. 분과별 발표 및 토의
제5장 민족의 웅혼이 떨쳐진 북방지역
1. 6·25전쟁 학도병이 세운 연변과학기술대학
2. 동아시아 격랑의 도전과 평화안보의 길
3. 항일민족 독립운동의 혼백이 어려 있는 간도
4. 요동치는 북·중·러 국경지대
5. 통일의 원동력이 될 백두산 천지의 웅혼
6. 하나가 되는 남북과 동북아 공동체 건설
제4부 한반도 통일의 비전
제1장 기존 통일정책 평가와 새로운 통일방향 모색
1. 이론적 고찰
2. 진보·보수정부의 대북·통일정책 공과
3. 시대사적 트렌드와 한반도 통일에의 함의
4. 새로운 대북·통일정책 방향
5. 소결론 및 정책제언
제2장 통일을 향한 국제협력 방향
1. 통일한국의 비전
2. 서독 역대정부의 통일외교와 시사점
3. 통일의 걸림돌
4. 통일외교안보전략
5. 소결론 및 정책제안
제3장 통일을 향한 대미·대중 외교안보전략
1. 이론적 고찰
2. 역사적 고찰
3. 외교안보전략의 추진기조와 대미·대중외교안보정책의 상관관계
4. 통일을 향한 이슈별 對美 · 對中 조화전략
5. 소결론 및 정책제안
결론 및 정책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