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는 경인교육대학교의 교양, 교직, 교과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다양한 학문 분야의 교수들이 직접 고민하고 실행해온 생생한 강의 경험과 논의가 실려 있습니다.
이 책은 초등교사를 길러내는 교육대학에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양, 교직, 교과 교육 강의의 실제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최초의 저술이라는 점에서, 교사 교육 분야의 학문적, 교육적, 정책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자부합니다. 다양한 학문적 배경과 교육 경력을 지닌 교육대학의 교수들이 미래의 교사를 길러낸다는 공통 과제를 각자의 분야에서 해결하기 위해 이론과 실제를 연계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고민하면서, 학습 동기와 몰입을 이끌어내기 위한 다양한 전략들을 시도한 논의들을 읽으며 숙연하고 뭉클해집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예비교사를 길러내는 교육을 담당한 교수들의 고군분투가 담긴 논의들은 여러 대학교수들과 학교 현장 교사들이 공감할 만한 내용이라 생각합니다. 교육대학의 교육이 학교 현장과 유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을 간혹 받기도 하는데, 이 책은 그러한 오해를 불식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합니다.
1부. 예비교사 교육의 방향 모색
제1장 모든 학생을 위한 교사를 키우고 있는가 신재현(특수통합교육학과)
제2장 왜 역량 기반 교사 교육인가 온정덕(교육학과)
2부. 예비교사를 위한 교양 교육 사례
제3장 체험 기반 경제학 수업 한진수(사회과교육과)
제4장 비대면 원격수업 상황의 과학 수업과 ‘무들(Moodle)’ 플랫폼 활용 방안 박형용(과학교육과)
제5장 우리 사회의 선과 악을 이해하기 위한 철학과 심리학 교육 김철호(윤리교육과)
제6장 수학 내용과 학습자를 재창조하는 레크리에이션 수학 송상헌(수학교육과)
3부. 예비교사를 위한 교과교육 사례
제7장 학교 현장 적용성을 중시하는 음악교육 김용희(음악교육과)
제8장 체육 교사 교육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이재용(체육교육과)
제9장 비대면 수업 경험을 통한 온라인 시대의 의생활 교육 방안 이윤정(생활과학교육과)
제10장 학습 디자인 중심의 영어교육 성민창(영어교육과)
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