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중독은 직장인들의 자아존중감과 조직소통, 그리고 조직유효성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직장인들의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하여 저하된 조직유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스마트폰 중독과 조직유효성 사이에서 자아존중감과 조직소통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규명한 연구를 이 책을 통해 만나 보기 바란다.
스마트폰 중독과 조직유효성 사이에서 자아존중감과 조직소통의 심리 관계
스마트폰은 우리의 일상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이에 대한 의존과 중독으로 인하여 개인 내면의 심리 문제, 대인 소통 문제, 인터넷 중독 및 조직 내에서의 업무 효율 문제 등 부정적 결과도 초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직장인들의 스마트폰 중독은 업무 몰입의 저하를 초래하며, 자아존중감, 조직소통을 거쳐 결국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력에서 자아존중감과 조직소통이 방어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직장 내에서의 직무교육과 정기적인 교육은 단순한 직무 지식 교육보다는 개인적인 측면에서 그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커리큘럼과 전조직적 측면에서 조직 내 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이 조직유효성 향상에 실질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제1장 스마트폰 중독 심리분석의 기초
1. 스마트폰 중독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 문제
3. 주요 변수의 정의
3.1. 스마트폰 중독
3.2. 자아존중감
3.3. 조직소통
3.4. 조직유효성
제2장 스마트폰 중독의 이론적 배경
1. 스마트폰 중독
1.1. 스마트폰
1.2. 스마트폰 중독
2. 스마트폰 중독 관련 변인
2.1. 자아존중감
2.2. 조직소통
2.3. 조직유효성
제3장 스마트폰 중독 심리분석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3. 자료수집 방법
4. 연구도구
4.1. 스마트폰 중독
4.2. 자아존중감
4.3. 조직소통
4.4. 조직유효성
5. 자료 분석
제4장 스마트폰 중독 심리분석 결과
1. 주요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
2. 직장인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
2.1. 스마트폰 중독
2.2. 자아존중감
2.3. 조직소통
2.4. 조직유효성
3.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4. 측정모형 검증
5. 연구모형 검증
6. 매개효과 검증
제5장 논의 및 결론
1. 논의
1.1. 직장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 자아존중감, 조직소통 및 조직 유효성 차이
1.2. 직장인의 스마트폰 중독, 자아존중감, 조직소통 및 조직유효 성의 상관관계
1.3. 직장인의 스마트폰 중독과 조직유효성 사이에서 자아존중 감과 조직소통의 이중매개효과
2. 결론
제6장 연구척도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