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경인학술총서는 총 10분 저자의 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1부. 교육의 방향을 논하다’에서는 변화하는 시대의 교육 전반에 대한 담론을 담았고, ‘제2부. 교과교육과 교사교육을 논하다’에서는 변화하는 시대에서 각 교과교육에서 이슈가 되는 주제들에 대한 담론을 담았습니다.
제1부는 교육 전반에 관한 4개의 담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장 ‘학이시습과 오래된 미래: 변화의 시대, 학습의 전통적 의미와 지속가능한 교육을 위하여’(고대혁 교수)에서는 교육의 뉴노멀과 미래 교육의 방향을 살펴보고, 교육에 관한 전통적 사유인 학이시습과 온고이지신의 의미 고찰을 통해 지속가능한 교육의 의미를 논하였습니다. 2장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 교육의 과제 탐색’(온정덕 교수)에서는 더 나은 미래, 모두를 위한 교육을 지향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개념과 주도성의 의미를 살펴보았습니다. 3장 ‘창의적인 협력지능을 이끄는 수업’(한선관 교수)에서는 인공지능,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서 학교 현장에서 인공지능과 협력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델과 그 효과를 제시함으로써 미래 교육의 비전을 논의하였습니다. 4장 ‘코로나19 시기 초등돌봄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이혜정 교수)에서는 최근 많은 관심이 주목되고 있는 초등학교의 돌봄 역할에 대해 고찰하고 초등학생의 돌봄에서 초등학교의 의미와 위상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제2부는 교과교육 및 교사교육에 대한 6개의 담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장 ‘초등학교 체육시간의 사회-정서 학습역량’(유생열 교수)에서는 변화된 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는 학생들의 사회-정서 학습역량을 초등 체육 교과를 중심으로 논하였습니다. 2장 ‘유튜브 역사 콘텐츠 스토리텔링의 특징: 초등학생용 역사 콘텐츠로부터 알고리즘이 안내하는 역사 콘텐츠까지’(강선주 교수)에서는 유튜브를 비롯한 디지털 뉴미디어가 학생들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초등학생용 유튜브 역사 콘텐츠 및 이로부터 알고리즘이 연결하는 역사 콘텐츠까지의 스토리텔링을 분석하여 학교 역사교육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습니다. 3장 ‘학교 과학에 대한 담론’(신명경 교수)에서는 과학을 학교에서 배우는 이유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통해 미래 사회에서는 더욱 중요하게 될 학교 교육과 학교 밖 교육의 협업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4장 ‘초등학생의 식생활 교육을 위한 푸드 가이드의 국제 비교’(이영민 교수)에서는 현대 사회 아동기 건강 문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각 국가별로 학교 교육과정에서 활용되는 푸드 가이드를 비교하여 아동기 건강 교육에 대한 문제를 고찰하였습니다. 5장 ‘체육교과 지도의 사명감 증진을 위한 예비초등교사교육의 방향’(이희수 교수)에서는 다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삶을 지속하기 위한 체육교과의 중요성과 이를 위해 예비교사교육에서 강조할 내용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6장 ‘다문화 시대의 초등영어교육: 외국인 학생은 제3언어 영어를 어떻게 습득할까?’(조규희 교수)에서는 다문화 사회로 변모해 가는 우리나라에서 다문화 학생에게는 제3의 언어인 영어교육이 초등학교에서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기술과 사회의 변화는 교육에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디지털, 인공지능, 에듀테크, 뉴미디어, 다문화, 정서와 여가 활용,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결 등은 오랫동안 미래 교육의 키워드로 제시되었고, 이제는 현재 교육의 키워드가 되었습니다. 최소한 몇 년 동안은 이 키워드들이 학교 교육의 주요한 이슈들이 될 것임은 분명합니다. 이번 경인학술총서에서는 이러한 변화하는 시대의 교육에 대한 경인교육대학교 교수님들의 식견과 지혜를 나눠 보았습니다. 기존의 총서들을 포함하여 이번 경인학술총서 6권에서의 논의들은 변화하는 시대의 교육을 고민하는 교사, 학생, 그리고 모든 사회 구성원들에게 많은 메시지를 줄 것으로 기대합니다.
서문 - 《변화의 시대, 초등교육을 논하다》 발간에 부쳐
1부 교육의 방향을 논하다
1. 학이시습과 오래된 미래: 변화의 시대, 학습의 전통적 의미와 지속가능한 교육을 위하여 - 고대혁
2.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 교육의 과제 탐색 - 온정덕
3. 창의적인 협력지능을 이끄는 수업 - 한선관
4. 코로나19 시기 초등돌봄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 이혜정
2부 교과교육과 교사교육을 논하다
1. 초등학교 체육 시간의 사회-정서 학습역량 - 유생열
2. 유튜브 역사 콘텐츠 스토리텔링의 특징:
초등학생용 역사 콘텐츠로부터 알고리즘이 안내하는 역사 콘텐츠까지 - 강선주
3. 학교 과학에 대한 담론 - 신명경
4. 초등학생의 식생활 교육을 위한 푸드 가이드의 국제 비교 - 이영민
5. 체육교과 지도의 사명감 증진을 위한 예비초등교사교육의 방향 - 이희수
6. 다문화 시대의 초등영어교육: 외국인 학생은 제3언어 영어를 어떻게 습득할까? - 조규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