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나답게 당당하고 씩씩하게
성교육이 당황스러운 부모·교사를 위한 성교육 길라잡이
우리 아이들이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곳이 가정이며 학교이다. 특히 가정에서는 부모로부터, 학교에서는 교육자로부터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다. 때문에 가정에서는 부모가 학교에서는 교사가 성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지도를 해야 한다. 생물학적 성교육을 넘어 인간에 대한 배려와 존중 감수성을 높이며 인권 관점에서 성교육을 하여야 한다. 성교육은 인권교육으로 성교육을 통해 서로를 존중하는 방법을 지도할 수 있어야 된다. 이 책을 통해 자신을 사랑하는 당당하고 똑똑한 아이를 기르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우리 사회는 성에 대해 소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움츠러들게 교육을 해 왔습니다. 지금 이 순간 우리 아이들을 위한 뉴노멀시대의 알맞는 성교육 방법을 파악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젠더교육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성교육을 고민하는 분들에게 어떤 관점으로 성을 만나야 하는지 점검하고 인간 발달에 따른 특성과 행동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되면 좋겠습니다.
밝은 마음, 좋은 느낌 만들기, 성을 대하는 자세
“싹이 트고 있어요” 유아기, 좋은 성 만들기(2세~6, 7세)
“어른들은 몰라요.” 아동기, 성인지 감수성 함양(6, 7세~12, 13세)
“인생의 이벤트 시기” 청소년기, 성 가치관 완성(12, 13세~20세)
“뉴노멀시대” 성폭력 감수성 높이기
Part 1.
밝은 마음, 좋은 느낌 만들기
성(性)을 대할 때 자연스러운 자세와 태도 가지기
1 성(性)은 나의 이야기, 인생의 밑거름이 된다
2 성 이야기는 인권 이야기
3 성교육은 평생교육이다
4 성 이야기(성교육), 언제부터 시작할까요?
5 성 이야기, 자연스럽고 당당하게 하자
6 성에 대한 자기 결정권(성적 자율권)과 동의의 중요성
7 경계존중교육에 대한 감수성을 키우기
Part 2.
“싹이 트고 있어요”
유아기에 좋은 성 만들기(2세~7세)
1 유아기의 성적 호기심과 성적 발달의 이해
2 유아기의 성적 놀이, 자위행위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
3 유아기의 생식기 만지는 행동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4 아기는 어떻게 생겨요? 어떻게 대답해야 할까요?
5 아이가 부모 성관계를 보았어요.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할까요?
6 생식기 명칭, 정확하게 알려 주는 것이 맞나요?
7 성 고정관념 교육,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
Part 3.
“어른들은 몰라요.”
성교육이 중요한 아동기(6, 7세~12, 13세)
1 아동기 성 발달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요_
2 빠른 사춘기, 성조숙증 지도는 어떻게 할까요?
3 아이가 성표현물을 보는 것 같아요,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
4 사춘기의 변화,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
5 포경수술은 언제 하면 좋을까요?
6 초경 준비는 언제부터 하는 것이 좋을까요?
Part 4.
“인생의 이벤트 시기”,
청소년기 성 가치관 완성(12세~20세)
1 아이의 자위행위를 보았습니다.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
2 남들과 다른 성적 취향, 어떠한 태도를 취해야 할까요?
3 ‘이성 교제’를 위한 교육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4 자녀의 성관계 교육,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
5 피임 교육은 언제,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
6 성 소수자에 대해 설명하기가 어려워요. 어떻게 지도해야 하나요?
Part 5.
“뉴노멀시대”,
성폭력 감수성 높이기
1 성폭력 의식 점검하기. 성폭력 제대로 알고 교육해요
2 만약 아이에게 성폭력이 발생했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3 친구로부터 성폭력 피해를 당하였어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4 성폭력 범죄 가해자로 지목되었어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5 디지털시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
6 장난삼아 사진 한 장 보냈는데, 디지털 성범죄라고요?
7 메타버스 내에서 성범죄 예방은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