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누구나 교육에 관여하고 있고, 또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입장에 기반하여 교육에 대한 관심을 표출하므로 교육을 한 가지의 단정적인 문장으로 정의해내기란 어려운 일이다. 그럼에도 교육이 인간을 대상으로 하고 가치가 있는 무언가를 추구한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따라서 인간과 가치라는 내용을 토대로 교육적 기준을 정립하여, 교육에 대한 개념을 정립해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 노력 속에서 교육이라는 복합적 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적 안목을 기를 수 있다.
‘교학상장(敎學相長)’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禮記(예기)의 學記(학기)편에 나오며, 가르치고 배우면서 서로 성장한다는 의미로 남을 가르치는 일과 스승에게서 배우는 일이 함께 실행되는 가운데 자신의 학업이 향상됨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이 말은 우리가 살아가는 현대사회에서 교육이 지켜야 할 모습을 가장 잘 표현해줍니다. 교육은 인간이 함께 살아가면서 서로에게 필요한 내용들을 전해주면서 상호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어야 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교육학의 가장 기본교과목인 교육학개론은 교육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바를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진행되어야 합니다.
제1장 교육의 기초
1. 교육이란 무엇인가
2. 교육의 어원과 정의
3.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
제2장 교육사와 교육철학
1. 교육사
2. 교육철학
제3장 교육과 심리
1. 교육심리학의 성격
2. 학습자의 특성과 교육
3. 학습자의 발달과 교육
제4장 교육과 사회
1. 교육사회학의 이해
2. 교육의 사회적 기능
3. 교육과 사회변동
제5장 교육공학의 이해
1. 교육공학의 정의와 역사적 고찰
2. 교육공학의 이론적 배경
3. 교육공학의 실제: ISD이론
4. 교육공학의 미래 전망
제6장 교육과정
1. 교육과정의 이해
2. 교육과정의 수준
3. 교육과정의 유형
4. 교육과정의 개발모형 및 주요이론
5. 교육목표 설정
제7장 교수·학습이론
1. 교수·학습이론의 이해
2. 교수·학습이론
제8장 교육평가
1. 교육평가의 이해
2. 교육평가의 도구
3. 교육평가의 유형
4. 평가문항의 유형
5. 평가의 정확성
제9장 교사론
1. 교육과 교사의 이해
2. 교사의 자질과 역할
3. 교사발달과 능력개발
제10장 생활지도와 상담
1. 생활지도의 이해
2. 생활지도의 영역과 활동
3. 상담활동
제11장 교육행정
1. 교육행정의 이해
2. 교육행정의 특징과 원리
3. 교육제도와 행정조직
제12장 평생교육
1. 평생교육의 기초
2. 평생교육의 주요이론
3. 평생교육의 체제
4. 미래사회와 평생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