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안전 분야는 그동안 수없이 발생했던 철도사고에 대해 단기적인 대책을 중심으로 대응해 왔기 때문에 한국철도의 안전관리가 어떻게 중장기적인 호흡으로 흘러왔는지 찾아보기 어렵다. 다행인 것은 정부에 철도안전 관련 전담조직이 생기고 「철도안전법」이 제정되면서 제1차 철도안전종합계획을 통해 철도안전에 대한 밑그림이 그려졌다. 그리고 현재 제3차 철도안전종합계획(수정계획)까지 이어져 우리나라 철도안전의 역사가 어떻게 흘러왔는지 점차 정리되고 있다고 느낀다.
이 책은 필자가 철도안전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다가 이와 관련된 이론이나 현황자료가 부족한 것을 깨닫고 그간의 업무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철도 현황과 안전 관련 이론을 학습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집필하였다.
“저자의 현장 경험과 실증적 자료를 통해 책 속에서 현장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으며, 현재 한국 철도의 안전수준을 이해할 수 있는 생동감 있는 안전대책 교과서로 일독하시길 권한다.”
- 국토교통부 철도안전정책관 임종일
“철도안전 분야에서 오랜 현장경험과 거버넌스에 대한 경륜을 축적하고 지적 연구를 거친 저자들이 이론과 현장을 이어줄 훌륭하고 포괄적인 개론서를 펴낸 것을 축하하면서,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메타버스에 접목한 미래 안전체계를 구축하는 데 더욱 깊이 고민해 줄 것을 기대한다.”
- 前 해양수산부 장관 김영석
“2004년 4월 1일, 우리나라에 고속철도가 개통된 이후 철도안전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기에 철도현장에서 정책을 직접 집행하면서, 주경야독하면서 철도안전개론을 집필한 저자의 역량과 노력에 찬사를 보낸다.”
- 前 국토교통부 차관 김세호
“철도안전과 관련된 종합적이고 알기 쉽게 정리한 책을 접하는 것 같다. 철도안전에 종사하시는 분들이나 철도를 이해하고 공부하시는 분들께 좋은 길잡이가 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 前 국토교통부 철도안전기획단장, (주)SR 대표이사 이종국
“국토교통부 안전감독관으로서 오랜 근무 경험과 전문지식을 토대로 대한민국 철도의 안전실상을 팩트 중심으로 냉철히 진단하고 철도사고 저감방안을 제시하는 등 철도안전 강화 연구에 기본서가 될 것이다.”
- 국토교통부 철도특별사법경찰대 대장 도정석
“안전한 철도는 안전 책임자를 정하고 조직과 시스템을 만들기만 하면 모두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안전조직과 시스템이 어떤 원리로 작동되도록 할 것인가에까지 생각이 미쳐야 비로소 얻어진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과거의 많은 철도사고 사례와 인적오류 방지, 위기관리를 통한 회복탄력성 강화 등의 방안은 철도운영자뿐만 아니라 관련 분야 종사자나 학생들에게 안전의 작동원리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 前 서울교통공사 사장, (주)메트로플러스 대표이사 김태호
“이 책은 저자의 풍부한 현장경험을 바탕으로 일반인이나 현장의 기술자들이 철도 안전관리를 쉽게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점이 눈에 띈다. 이 책을 통해 다소나마 우리나라의 철도안전관리가 한 단계 상승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前 서울메트로 안전본부장, (사)한국철도안전협회 회장 정수영
“안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 철도 안전에 관한 전문서적 발간을 환영한다. 이를 계기로 철도안전에 관한 전문서가 다양하게 발간되어 철도안전에 관한 사회적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면 한다.”
- 前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사)한국전기철도기술협회 회장 김양수
“이 책은 철도의 안전관리와 상황에 따른 위기대응을 학습할 수 있으며, 또한 안전에 대한 중장기적인 대책을 수립하여 실천할 수 있는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
- 前 우송대 교수, 前 한국철도학회 회장, (사)한국철도차량기술사회 회장 홍용기
“철도안전에 대한 실무적인 핵심요소를 학문적으로 정립하여 철도 운영기관의 관계자들이 반드시 공부해야 할 책이다.”
- 前 철도청 안전환경실장, (주)철도운전기술 대표 김호균
서평
머리말
제1장 안전이란 무엇인가?
1. 안전(Safety)의 정의
2. 산업안전과 철도안전
2.1 산업안전
2.2 철도안전
2.3 시스템 산업의 안전관리
3. 사고 발생의 이론적 배경
3.1 도미노 이론
3.2 스위스 치즈 이론
3.3 ESM(Engineering Safety Management)
3.4 복원공학(Resilience Engineering)
제2장 왜 철도사고가 일어나는가?
1. 철도의 특징
1.1 철도의 정의
1.2 철도의 특징
1.3 철도시스템
1.4 철도 소프트웨어
2. 철도사고의 정의
2.1 철도사고의 정의
2.2 철도사고의 보고
3. 철도사고 발생 현황 및 사고분석
3.1 철도사고 발생 현황
3.2 철도사고 발생 원인분석
4. 왜 철도사고가 일어나는가?
4.1 고장이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
4.2 고장조치나 유지보수를 부실하게 수행해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
4.3 안전정보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사고로 발생하는 경우
4.4 인적오류에 의해 사고가 발생한 경우
4.5 철도 자체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4.6 외부요인에 의해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제3장 대한민국 철도는 얼마나 안전한가?
1. 대한민국 철도 현황
1.1 대한민국 철도 현황
1.2 철도건설
1.3 철도시설물 관리
1.4 대한민국 철도 환경의 변화
1.5 철도안전관리 강화
1.6 민자철도의 안전관리
1.7 무인운전 철도의 안전관리
2. 해외 철도사고 현황
2.1 ERA 통계
2.2 UIC 통계
3. 대한민국 철도는 얼마나 안전한가?
3.1 대한민국 철도안전 수준
3.2 철도안전 수준 고도화를 위한 개선 필요사항
제4장 어떻게 철도사고를 예방할 것인가?
1. 철도안전관리 개요
2. 철도안전관리 수단
2.1. 제도
2.2 조직
2.3 예산
2.4 계획
3. 철도안전관리체계
3.1 철도안전관리체계 정의
3.2 철도안전관리체계 구성
3.3 철도안전관리체계와 철도운영기관 등의 내부 규정과의 관계
3.4 제도 위반에 대한 제재기준
4. 어떻게 철도사고를 예방할 것인가?
4.1 안전문화(Safety Culture)
4.2 부품조달 및 품질관리
4.3 의사전달 방법 체계화
제5장 인적오류란 무엇인가?
1. 인적오류(Human Error)의 정의
1.1 인적오류(Human Error) 개요
1.2 인적요인(Human Factors)
1.3 인적오류의 구분
2. 타 분야의 인적오류 관리 현황
2.1 원자력 분야
2.2 항공 분야
3. 인적오류로 인한 사고 사례
3.1 개요
3.2 인적오류 발생 원인
3.3 인적오류 발생 사례
4. 인적오류 저감 방법
4.1 인적오류 방지를 위한 시스템 설계
4.2 종사자 교육 강화
4.3 인적오류에 대한 투자
4.4 비기술적 역량(NTS: Non Technical Skills) 관리
5. 인적오류 분석 방법론
5.1 SHELL 모델
5.2 항공정비 페어 모델(The Pear Model)
5.3 인적오류 분석 및 저감 기법(HEAR)
제6장 위기관리란 무엇인가?
1. 위기(Crisis)의 정의
2. 위기관리(Crisis Management)
2.1 위기관리의 발전배경
2.2 위기관리의 필요성
2.3. 위기관리의 기본이론
3. 해외 사례 및 타 분야 현황
3.1 해외 사례
3.2 비즈니스 연속성 관리(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4. 철도 위기관리 체계
5. 철도 위기관리 매뉴얼의 구성
5.1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5.2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5.3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5.4 주요상황 대응매뉴얼
6. 국내 철도 위기대응 훈련의 성과 및 개선방안
6.1 위기대응 훈련
6.2 철도 위기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개선 필요사항
7. 철도사고를 통해 살펴본 위기관리의 중요성
부록 대한민국의 철도안전대책
1. 정부의 철도안전 규제와 안전기준의 강화
2. 철도종사자의 안전역량 강화
3. 철도차량 관리 체계화
4. 철도시설 및 안전설비의 확충과 개량
5. 철도안전 국제협력 및 연구개발
6. 국내에서 추진되는 안전대책에 대한 요약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