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영·정조 시대 소재의 극문학 텍스트를 분석한 것이다. 영조와 사도세자, 정조와 혜경궁 홍씨로 이어지는 소재의 다층적 함의는 부자 갈등과 부 콤플렉스의 심리적 의미만이 아니라, 당쟁과 역사의식의 편차 등 다각적인 사회, 정치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영·정조 시대 소재는 지속적으로 창작되어 왔다. 이 책은 영조, 사도세자, 정조에 이르는 삼대기 왕조의 콘텐츠를 소재로 하여 영화, TV 드라마, 연극과 뮤지컬로 공연된 9편의 창작물을 분석하고 있다. 영·정조 소재는 여러 시대에 걸쳐 지속적으로 창작되어 왔으나 이에 관한 연구는 개별적인 작품에 한정된 단편적인 연구에 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영·정조 시대 소재의 영화, TV 드라마 등의 영상물과 연극과 뮤지컬로 공연된 작품을 통시적·공시적으로 분석하였다.
책머리 中
영·정조 시대 소재는 소재의 다층적 함의로 인해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세계 문화 시장에서도 다양하게 창작되어 두터운 소비자 계층을 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본 연구는 영·정조 시대 소재의 극문학 콘텐츠적 의미를 국제적으로 심화·확산하는 데 있어서 미래적 전망으로도 유의미하다.
책머리에
Ⅰ. 서론
1. 연구 목적 및 연구사 개관
2.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Ⅱ. 영·정조 시대에 대한 역사적 기록
1. 역사적 안정과 개혁 과정에 대한 서술; 《조선왕조실록》
2. 개인의 시선에서 본 역사적 비극; 《한중록》
3. 진실의 보완과 인물의 다면성; 기타 자료
Ⅲ. 영·정조 시대 소재 영화
1. 궁중암투의 강조와 멜로드라마적 접근; 〈망부석〉
2. 개혁 군주의 부각과 몰락; 〈영원한 제국〉
3. 심리학적 관점에서 재구성한 부자 관계; 〈사도〉
Ⅳ. 영·정조 시대 소재 TV 드라마
1. 권력의 폭력성에 대한 성찰; 〈한중록〉
2. 정조의 삶과 현실 정치와의 병치; 〈이산〉
3. 미스터리 구조의 차용과 서스펜스의 부여; 〈비밀의 문〉
Ⅴ. 영·정조 시대 소재 연극과 뮤지컬
1. 역사의 유희화와 잔혹함의 부각; 〈부자유친〉
2. 개혁 군주의 뮤지컬화; 〈화성에서 꿈꾸다〉
3. 미시사적 역사 재현; 〈혜경궁 홍씨〉
Ⅵ.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