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통합세계관은 한국인들에게 있는 심오하고도 조화로운 세계관이다. 이 세계관을 지닌 우리들은 어둠과 혼돈이 가득한 세계에서 세상을 깨우기 위해 앞으로 어떤 길을 나아가야 할 것인가. 먼 과거, 상고한국에서부터 전해 내려오던 삼일통합세계관에서 우리는 해체된 현재의 개인과 가정, 나아가 사회로까지의 통합을 바라볼 수 있다. 저자 야곱(Jacob) 김종성의 《통합의 길》은 그러한 통합의 길을 앞서 닦아 줄 것이다.
한민족은 수천 년간 세계적인 명품 그릇들을 빚어 왔다
상고 시대에는 천-지-인을 담은 정(鼎)이라는 세발솥 제기(祭器)를 주조하였고, 고려 시대에는 그지없이 우아하고 수려한 청자를 빚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서민적이면서도 품위 있는 백자도 빚었다. 최근에는 서구의 문화평론가들이 조선 시대의 달항아리의 미(美)에 감탄을 금치 못하고 있다. 달항아리는 한국인들의 정(情), 그 넉넉하고 따뜻한 하나님의 뜻인 정(情)의 아름다움을 빚어 막 달빛에 내어 놓은 듯하다.
그런데 한국에는 고통에 처한 수많은 사람들과 해체의 위기에 둘러싸인 현 세계를 담아서 아우르고 이끌어 올리고 어울리게 할 수 있는, 넉넉하고 따뜻하며 우아하고 단순하되 다양하며, 영적이되 동시에 자연적이고 인간적인, 심오한 또 하나의 그릇이 있다. 그것은 천-지-인 삼재합일(三才合一)의 우주관, 창조-가르침-통치의 3 기능을 통합적으로 하는 유일신(唯一神) 신관, 그리고 영성(靈性)-이성(理性)-인성(人性)이 조화되고 균형 있게 통합된 인생관으로 표현되는, 삼일통합세계관(三一統合世界觀)이라는 그릇이다. 유동식은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2대 보물들 가운데 한글과 더불어 풍류도(風流道), 즉 화랑도를 꼽았는데, 이 회랑도의 세계관이 바로 삼일통합세계관이었다.
- 서문 중에서
저자 소개
추천서
서문 (Preface)
감사의 글(Acknowledgement)
들어가는 말(통합의 의미)
1. 자각의 수레바퀴
2. 통합의 의미
3. 삼일신(三一神)과 삼위일체 하나님
4. 상고한국 연구의 난관과 극복책
I. 한민족의 세계적 보물 삼일통합세계관
1. 상고한국의 명품세계관에 놀란 최치원
2. 《천부경(天符經)》에 보이는 삼일통합세계관
Ⅱ. 한민족은 하느님의 언약의 백성
1. 《천부경》은 하나님과 한민족 사이의 언약(言約, Covenant)
2. 《천부경》에 담긴 언약의 내용
3. 천부경 언약과 그리스도의 새 언약의 관계
4. 하나님이 언약대로 한민족을 보우하시다
5. 분단과 6·25의 하느님이 한민족에게 두신 세계통합의 뜻
Ⅲ. 한민족의 시조(始祖) 아담과 초기 역사
1. 아담의 언약과 상고한국의 언약 사이의 공통점
2. 한민족의 시조(始祖)는 아담
3. 상고한국의 시초인 환국의 초기
Ⅳ. 통합적인 성서적 세계관
1. 통합적인 성서적 세계관과 상고한국의 세계관
2. 아담의 계시들에 있는 통합적인 성서적 세계관
V. 통합의 예들과 통합의 길
1. 해체된 개인들의 통합
2. 해체된 가정의 통합과 통합의 길
3. 예배를 통한 사회의 통합
4. 하나님 나라를 통한 인류의 통합
에필로그(Epilogue)
참고 문헌